혈 부축 어탕 |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3527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혈 부축 어탕 –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한의학 강의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36회 및 좋아요 2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혈 부축 어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 혈 부축 어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한의학강의 채널의 정보는 한의학 공부를 위한 자료입니다. 개인의 진료목적으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진료상담도 하지 않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Kinetic acupuncture 채널
http://www.youtube.com/kineticacupuncture
Kinetic acupuncture 홈페이지
kineticacupuncture.org

혈 부축 어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처방]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血府逐瘀汤) – 네이버 블로그

혈부축어탕은 청(靑)나라 왕청임의 “의림개착(醫林改錯)”에 나오는 처방이다. 흉중 어혈증을 주치하며, 흉통, 두통, 특정 부위의 찌르는 듯한 통증,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11/2022

View: 1022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이 혈전등과 피하혈종에 미치는 영향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이 혈전등과 피하혈종에 미치는 영향. 최승훈. TOOL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PubReader · Download Citation.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jkom.org

Date Published: 1/7/2021

View: 5712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 동의보감 방약합편 처방 – Daum 카페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 자감초(炙甘草). 사(使). 2-10g ; 평(平-生用), 온(溫-炙用). 감(甘). 심폐비위(心肺脾胃) ; 보비익기(補脾益氣). 윤폐지해(潤肺 …

+ 여기를 클릭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4/18/2022

View: 8973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ulboochucke-tang on the Collagenase-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5/2/2022

View: 5372

혈부축어탕이 (血府逐瘀湯)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페이퍼서치

혈부축어탕이 (血府逐瘀湯)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홍희탁,김순열,이태균,남경수. – 발행기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 발행년도 : 1996.

+ 여기에 표시

Source: papersearch.net

Date Published: 4/28/2021

View: 2148

혈부축어탕이 (血府逐瘀湯)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 KISS

혈부축어탕이 (血府逐瘀湯)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발행기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 간행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9권1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1996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iss.kstudy.com

Date Published: 8/29/2021

View: 9600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 – KoreaScience

혈부축어탕에 대한 실험 연구로는 심근경색 재관류 효. 과8), 고지질혈증 억제 효과9,10), 죽상경화증 억제 효과11),. 전뇌허혈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 …

+ 더 읽기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7/5/2022

View: 6723

혈부축어탕의 본태성 고혈압에 대한 치료 효과 관한 메타 분석 …

혈부축어탕의 본태성 고혈압에 대한 치료 효과 관한. 메타 분석 및 체계적 고찰. 한인식1,장인수2,선승호1. 1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2우석대학교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researchgate.net

Date Published: 7/6/2021

View: 486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혈 부축 어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혈 부축 어탕

  • Author: 한의학 강의
  • Views: 조회수 536회
  • Likes: 좋아요 26개
  • Date Published: 2022. 6. 2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Vctc7pKDqCw

[처방]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血府逐瘀汤)

[처방 구성] : 도인 12g, 홍화 당귀 생지황 우슬 9g, 천궁 길경 4.5g, 적작약 지각 감초 6g, 시호 3g

[처방 해설] : 어혈내조흉부 기기울체로 인한 모든 증상을 치료한다.

– 흉중은 기가 일어나는 곳이고, 혈이 모이는 곳이다. 간경 순행이 나누어지는 곳이다.

– 血瘀胸中,气机阻滞,清阳郁遏不升하면 흉통 두통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며, 찌르는 듯한 통증이 일정 부위에 발생한다.

– 흉중의 어혈이 위에 영향을 미치면 위기가 상역하여 구역질이 나고, 심하면 물만 마셔도 바로 뿜어낸다.

– 瘀血이 오래되어 열이 되면, 内热瞀闷이 되어 저녁이 되면 조열이 되고

– 瘀熱이 심에 미치면 심계정충, 불면다몽이 생긴다.

– 울체가 오래되면 간경이 조달하는 기운을 잃어버려 쉽게 화를 내게 된다.

– 입술, 눈, 혀, 맥에 모두 어혈증상이 보인다.

– 그러므로 활혈화어하면서 행기지통하다.

– 군(君) : 도인(破血行滞而润燥),홍화(活血祛瘀以止痛)。

– 신(臣) : 적작약&천궁(助君药活血祛瘀), 우슬(活血通经,祛瘀止痛,引血下行)

– 좌(佐) : 생지황&당귀(养血益阴,清热活血), 길경&지각(一升一降,宽胸行气), 시호(疏肝解郁,升达清阳),与桔梗、枳壳同用,尤善理气行滞,使气行则血行。

– 사(使) : 길경(并能载药上行,兼有使药之用), 감초(调和诸药,亦为使药)

[비교]

1. 통규활혈탕 : 적작약, 천궁, 도인, 홍화, 총백, 생강, 사향

2. 격하축어탕 : 오령지, 천궁, 목단피, 적작약, 오약, 당귀, 도인, 홍화, 감초, 현호색, 향부자, 지각

3. 소복축어탕 : 소회향, 건강, 육계, 현호색, 몰약, 천궁, 적작약, 오령지, 당귀, 포황

4. 신통축어탕 : 진교, 강활, 향부자, 천궁, 당귀, 몰약, 오령지, 지룡, 우슬, 도인, 홍화, 당귀

각 처방에 도인, 홍화, 천궁, 당귀, 적작약 등이 기본약물이다.

모두 활혈거어지통 작용이 있으며, 어혈로 인해 생긴 병을 치료한다.

– 혈부축어탕은 지각 길경 시호로 행기관흉하며, 우슬로 인혈하행하여, 宣通胸胁气滞,引血下行하는데 효과적이며 흉중어조의 증상을 치료한다.

– 통규활혈탕은 사향 총백을 배합하여 통양개규하여 活血通窍 작용이 우수하여,瘀阻头面 증상에 사용한다.

– 격하축어탕은 향부자 오약 지각을 배합하여 疏肝行气止痛 하므로 행기지통 작용이 가장 크다. 격항에 생긴 어혈이 뭉치고, 간울기체하여 양측 옆구리와 복투가 뭉쳐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소복축어탕은 온통하기하는 소회향, 육계, 건강을 배합하여 温经止痛 작용이 비교적 강하여 소복에 쌓인 어혈을 풀어 월경부조와 월경통 등을 치료한다.

– 신통축어탕은 진교, 강활, 지룡 등 通络宣痹止痛하는 약물을 배합하여, 어혈비조경락하여 발생하는 사지저린통증 또는 전신 동통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2.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 의림개착(醫林改錯) 》

도인(桃仁)사전(四錢)(12g), 홍화(紅花)삼전(三錢)(9g), 당귀(當歸)삼전(三錢)(9g),

생지황(生地黃)삼전(三錢)(9g), 천궁(川芎)일전반(一錢半)(5g), 적작(赤芍)이전(二錢)(6g),

우슬(牛膝)삼전(三錢)(9g), 길경(桔梗)일전반(一錢半)(5g), 시호(柴胡)일전(一錢)(3g),

지각(枳殼)이전(二錢)(6g), 감초(甘草)일전(一錢)(3g)

[ 구성약물(構成藥物)의 성미(性味), 귀경(歸經), 효능(效能), 주의(注意), 용량(用量) ]

본초(本草) 성(性)미(味)귀경(歸經) 효능(效能) 주의(注意) 도인(桃仁) 군(君) 4.5-9g 평(平) 고(苦)감(甘) 간(肝)심(心)폐(肺)대장(大腸) 활혈거어(活血祛瘀) 파어(破瘀) 윤장통변(潤腸通便) 1. 임부(姙婦)에는 금(禁)한다. 천궁(川芎) 군(君) 3-6g 온(溫) 신(辛) 간(肝)담(膽)심포(心包) 활혈행기(活血行氣) 거풍지통(祛風止痛) 치료두통(治療頭痛) 1. 신온승산(辛溫升散)으로 음허화왕(陰虛火旺)으로 인 한 설홍(舌紅), 구건자(口乾者)는 금(禁)한다. 2. 부녀월경과다(婦女月經過多) 혹은 출혈성질병(出血性 疾病)에는 금(禁)한다. 3. 과량사용(過量使用)하면 구토(嘔吐), 현훈(眩暈)이 온다. 4. 산수유(山茱萸), 활석(滑石), 황연(黃連), 려로(藜蘆)와 상반(相反)한다. 홍화(紅花) 군(君) 3-9g/ 연말(硏末) 0.9-1.5g 온(溫) 신(辛) 심(心)간(肝) 활혈거어(活血祛瘀) 통경(通經) 지통(止痛) 1. 임부(姙婦)에는 금(禁)한다. 당귀(當歸) 신(臣) 5-15g 온(溫) 감(甘)신(辛)고(苦) 간(肝)심(心)비(脾) 보혈활혈(補血活血) 윤장통변(潤腸通便) 조경화혈(調經和血) 산한지통(散寒止痛) 소종생기(消腫生肌) 1. 당귀신(當歸身)은 보혈(補血), 당귀미(當歸尾)는 파혈 (破血), 전당귀(全當歸)는 화혈(和血), 주당귀(酒當歸) 는 활혈(活血)하는 효능이 있다. 2. 습성중만(濕盛中滿), 대변설사자(大便泄瀉者)에는 금 (禁)한다. 적작(赤芍) 신(臣) 4.5-9g 미한(微寒) 고(苦)산(酸) 간(肝)비(脾) 청열양혈(淸熱凉血) 거어지통(祛瘀止痛) 청간화(淸肝火) 1. 허한성경폐(虛寒性經閉)에는 금(禁)한다. 2. 려로(藜蘆)와 상반(相反)한다. 우슬(牛膝) 신(臣) 9-15g 평(平) 고(苦)산(酸) 간(肝)신(腎) 활혈거어(活血祛瘀) 보간신(補肝腎) 이뇨통림(利尿通淋) 강근골(强筋骨) 인혈하행(引血下行) 1. 임부(姙婦), 월경과다(月經過多), 비허설사(脾虛泄瀉), 유정(遺精)에는 금(禁)한다. 2. 백전(白前)과 동용(同用)하는 것을 금(禁)한다. 생지황(生地黃) 좌(佐) 9-30g 한(寒) 고(苦)감(甘) 심(心)간(肝)신(腎) 청열양혈(淸熱凉血) 양음생진(養陰生津) 청심화상염(淸心火上炎) 1. 성한이체(性寒而滯)하여 비허습체(脾虛濕滯), 복만변 당자(腹滿便溏者)에는 금(禁)한다. 2. 비위허(脾胃虛)와 혈허(血虛)한 임부(姙婦)에는 금(禁)한다. 길경(桔梗) 좌(佐) 3-9g 평(平) 고신(苦辛) 폐(肺) 개선폐기(開宣肺氣) 거담(祛痰)/배농(排膿) 이인(利咽) 인약상행(引藥上行) 1. 각혈자(咯血者)는 금(禁)한다. 2. 용안육(龍眼肉), 용담초(龍膽草)와 상반(相反)한다. 시호(柴胡) 좌(佐) 3-12g 미한(微寒) 신고(辛苦) 간(肝)담(膽) 심포(心包)삼초(三焦) 화해퇴열(和解退熱) 해표(解表) 소간해울(疏肝解鬱) 승거양기(升擧陽氣) 1. 성능(性能)이 승발(升發)하므로 진음휴손(眞陰虧損), 간양상승(肝陽上升) 등 증(症)에는 금(禁)한다. 2. 복용(服用) 후 오심(惡心) 혹은 구토(嘔吐)가 나타날 수 있다. 지각(枳殼) 좌(佐) 3-9g 미한(微寒) 신고(辛苦) 폐(肺)위(胃)대장(大腸) 행기(行氣) 관중(寬中) 제창(除脹) 1. 비위허약(脾胃虛弱) 혹은 임부(姙婦)는 신용(愼用)한다. 자감초(炙甘草) 사(使) 2-10g 평(平-生用), 온(溫-炙用) 감(甘) 심폐비위(心肺脾胃) /십이경락(十二經絡) 보비익기(補脾益氣) 윤폐지해(潤肺止咳) 완급지통(緩急止痛) 완화약성(緩和藥性) 청열해독(淸熱解毒) 1. 청화해독(淸火解毒)에는 생용(生用)하고, 보중완급 (補中緩急)에는 자용(炙用)한다. 2. 습성(濕盛)으로 인한 흉복창만(胸腹脹滿), 구토자 (嘔吐者)에는 금(禁)한다. 3. 대극(大戟), 원화(芫花), 감수(甘遂), 해조(海藻)와 상오(相惡)한다.

[ 용법(用法) ]

수전복(水煎服)한다.

[ 효능(效能) ]

활혈거어(活血祛瘀)하고 행기지통(行氣止痛)하는 효능(效能)이 있다.

[ 임상표현(臨床表現) ]

1. 주증(主症) : 흉통(胸痛), 두통(頭痛)이 일구불유(日久不愈), 자통(刺痛), 고정불이(固定不移)

2. 부증(副症) : 애역(呃逆)이 일구부지(日久不止), 혹은 음수즉창(飮水卽嗆), 건구(乾嘔), 혹은 내열무민(內熱瞀悶), 혹은 심계정충(心悸怔忡), 혹은 야불능수(夜不能睡), 혹은 야매불안(夜寐不安), 혹은 급조이노(急躁易怒) , 혹은 입모조열(入暮潮熱), 혹은 양목암흑(兩目暗黑)

3. 설맥(舌脈) : 설(舌)은 강(絳)(심홍(深紅)), 설변(舌邊)에 어반(瘀斑)이 있고, 혹은 설면(舌面)에 어점(瘀点)이 있고 구순(口脣)은 자암(紫暗)하고 맥(脈)은 삽(澁), 혹은 현긴(弦緊)

[ 진단요점(診斷要點) ]

1. 주증(主症)이 반드시 나타나야 한다.

2. 부증(副症) 중에 최소(最小)한 두가지 이상(以上)의 증상(症狀)과 전형적(典型的)인 설맥(舌脈)이 나타나야 한다.

3. 발병(發病)이 완(緩)하고 병정(病程)이 장(長)하며 정지불수(情志不遂), 외사침습(外邪侵襲), 외상(外傷) 등 병사(病史)가 있다.

[ 환자(患者) ]

35세인 한 여성이 가슴과 옆구리부위와 머리가 아프며, 아픈 부위가 고정되고 딸꾹질을 자주하며 물을 마시면 숨이 막히는 것같고 목이 마르고 가슴부위에 뜨거운 느낌이 있으며, 심계가 있고 실면하며, 잠을 자도 잔 것같지않고, 마음이 번거로우며 감정의 변화가 급격하고 저녁이 되면 열감이 심해진다고 호소하였다.

이 환자의 설은 심홍(강)이며 설변에는 반점이 있고 입술이 자주색이며, 맥은 삽(현기)하였다.

[ 방의분석(方義分析) ]

본방(本方)이 원서(原書)에서는 흉중어혈(胸中瘀血)에 사용(使用)하는 방제(方劑)인데 현대(現代)에서는 활혈화어(活血化瘀)하는 제방(諸方) 중에서 아주 광범(廣泛)하게 사용(使用)하고 있는 방제(方劑)이다.

“혈부(血府)”는 흉중부위(胸中部位)를 말하는데 어혈(瘀血)이 흉부(胸部)에 내조(內阻)하여 기기(氣機)를 조애(阻碍)하면 기기(氣機)가 불통(不通)하므로 흉통(胸痛), 오래되어도 불유(不愈) ;

어혈(瘀血)은 유형(有形)의 사(邪)이고 유형(有形)의 어혈(瘀血)이 기기(氣機)를 조애(阻碍)하므로 통처(痛處)가 고정불이(固定不移)하고 자통(刺痛);

어혈(瘀血)로 기기(氣機)가 조체(阻滯)하여 청양(淸陽)이 불승(不升)하므로 두통(頭痛);

흉중(胸中)에 어혈(瘀血)이 조체(阻滯)하면 위기(胃氣)의 화강(和降)도 실상(失常)하게 될 수 있으므로 애역(呃逆)이 오래되어도 불유(不愈), 혹은 음수(飮水)하면 즉 창(嗆), 건구(乾嘔);

흉중(胸中)에 어혈(瘀血)이 조체(阻滯)하여 오래되면 내울생화(內鬱生化)할 수 있으므로 내열무민(內熱瞀悶):

간(肝)은 소설(疏泄)을 주(主)로 하며 기기(氣機)를 조달(條達)하고 정지(情志)를 조절(調節)하므로 혈어(血瘀)로 혈행(血行)이 불창(不暢)하면 간기(肝氣)의 조달(條達)이 실상(失常)하게 되므로 급조이노(急躁易怒);

흉중어혈(胸中瘀血)이 일구(日久)하여 심신(心神)을 내요(內擾)하면 심계정충(心悸怔忡);

혈(血)은 음분(陰分)에 속(屬)하고 어혈(瘀血)이 울(鬱)하여 화열(化熱)하면 야중(夜中)도 음(陰)이므로 입모조열(入暮潮熱), 혹은 야불능수(夜不能睡), 혹은 야매불안(夜寐不安);

어혈(瘀血)이 일구(日久)하면 신혈(新血)이 불생(不生)하므로 기부(肌膚)가 실유양(失濡養)하고 맥도(脈道)가 불통순(不通順)하게 되어 구순(口脣)은 암자(暗紫)하고 설변(舌邊)은 어반(瘀斑), 혹은 설면(舌面)은 어점(瘀点)이 있으며 맥(脈)은 삽(澁), 혹은 통증(痛證)이 심(甚)하므로 현긴맥(弦緊脈)이 나타난다.

방중(方中)에서 도인(桃仁), 홍화(紅花), 천궁(川芎)은 활혈거어(活血祛瘀)하여 군약(君藥)으로 쓰였고 당귀(當歸)는 활혈생혈(活血生血)하고 적작약(赤芍藥)은 활혈양혈(活血凉血)하며 우슬(牛膝)은 활혈거어(活血祛瘀)하고 또 흉중(胸中)에 어혈(瘀血)을 인(引)하여 하행(下行)하므로 이상(以上)의 삼약(三藥)이 모두 신약(臣藥)으로 쓰였다.

생지황(生地黃)은 당귀(當歸)와 배합(配合)하여 음혈(陰血)을 양(養)하므로 거어(祛瘀)하면서 신혈(新血)을 상(傷)하지 않고 적작약(赤芍藥)과 배합(配合)하여 혈분(血分)의 어열(瘀熱)을 양해(凉解)하므로 양혈음(養血陰), 청열(淸熱)하면서 거어(祛瘀)를 조(助)하고, 시호(柴胡)는 소간해울(疏肝解鬱) 하고 질경승달(質輕升達)하므로 청양(淸陽)을 상승(上升)시키고 지각(枳殼)과 길경(桔梗)은 개흉행기(開胸行氣) 하여 혈행(血行)을 조(助)하고 또 길경(桔梗)은 제약(諸藥)을 인(引)하며 흉중(胸中)에 상입(上入)하므로 우슬(牛膝)의 인어혈하행(引瘀血下行)하는 것과 상조(相助)하여 흉중(胸中)의 어혈(瘀血)을 거제(祛除)한다. 그러므로 생지(生地), 시호(柴胡), 길경(桔梗), 지각(枳殼)이 모두 좌약(佐藥)으로 쓰였고 자감초(炙甘草)는 제약(諸藥)을 조화(調和)하므로 사약(使藥)으로 쓰였다.

이와같이 배합(配合)하여 혈분(血分)의 어체(瘀滯)도 행(行)하고 기분(氣分)의 울결(鬱結)도 해(解)하므로 활혈(活血)하면서 모혈(耗血)을 안하고 거어(祛瘀)하면서 생신(生新)하여 일체(一切) 기체혈어(氣滯血瘀)를 치료(治療)하는 주방(主方)이 된다.

[ 운용(運用) ]

1. 두통(頭痛)에는 백질려(白蒺藜), 만형자(蔓荊子)를 가입(加入)한다.

2. 협통(脇痛)에는 울금(鬱金), 황금(黃芩)을 가입(加入)한다.

3. 협하(脇下), 복중(腹中)에 고정불이(固定不移)하는 징가(癥瘕)가 있으면 울금(鬱金), 단삼(丹蔘)을 가입(加入)한다.

4. 월경부조(月經不調), 폐경(閉經)에는 길경(桔梗)을 거(去)하고 향부(香附), 익모초(益母草), 택란(澤蘭)을 가입(加入)한다.

5. 류마치스성 심장판막증(心臟瓣膜證)에는 길경(桔梗), 천우슬(川牛膝)을 거(去)하고 부정약(扶正藥)을 가입(加入)하고, 불면(不眠), 매중불안(寐中不安)에는 산조인(酸棗仁)을 가입(加入)하고 기허(氣虛)에는 당삼(黨蔘)을 가입(加入)하고, 양허(陽虛)에는 시호(柴胡)를 거(去)하고 부자(附子), 계지(桂枝)를 가입(加入)한다.

6. 관상동맥(冠狀動脈)의 이상(異常)으로 나타나는 협심증(狹心症)에는 홍화(紅花), 천궁(川芎)의 양(量)을 증가(增加)하고 단삼(丹蔘)을 가입(加入)한다.

[ 병기(病機) ]

어혈(瘀血)이 흉중(胸中)에 조체(阻滯)된 것

[ 주의사항(注意事項) ]

활혈거어(活血祛瘀)하는 효능(效能)이 아주 강(强)하므로 잉부(孕婦)와 어혈(瘀血)로 인하지 않은 월경과다자(月經過多者), 체질성출혈자(體質性出血者), 출혈자(出血者)에는 모두 금(禁)한다.

[ 변증(辨證) ]

(1) 팔강변증(八綱辨證) : 혈부축어탕증(血府逐瘀湯證)은 팔강변증(八綱辨證)으로 이(里), 한(寒), 실(實), 음(陰) 증(證)에 속(屬)한다.

(2) 육경변증(六經辨證) : 혈부축어탕증(血府逐瘀湯證)은 육경변증(六經辨證)에는 속(屬)하지 않는다.

(3)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 혈부축어탕증(血府逐瘀湯證)은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에는 속(屬)하지 않는다.

(4) 장부변증(臟腑辨證) : 혈부축어탕증(血府逐瘀湯證)은 장부변증(臟腑辨證)으로 구체적(具體的)인 장부(臟腑)는 아니지만 흉중(胸中)에 어혈(瘀血)이 있으므로 상관(相關)된 부위(部位)의 장부(臟腑)는 모두 이상(異常)이 나타날 수 있다.

(5) 오행변증(五行辨證) : 혈부축어탕증(血府逐瘀湯證)은 오행변증(五行辨證)에 속(屬)하는 관계(關係)는 없다.

[ 현대연구(現代硏究) ]

현대임상(現代臨床)에서 관상동맥경화성심장병(冠狀動脈硬化性心臟病)의 심교통(心絞痛), 풍습성심장병(風濕性心臟病), 흉부좌상(胸部挫傷), 늑연골염(肋軟骨炎)의 흉통(胸痛), 신경관능증(神經官能症), 뇌진탕후유증(腦震蕩後遺症)의 정신억울(精神抑鬱), 두통(頭痛) 등이 어조기체(瘀阻氣滯)에 속(屬)하면 모두 본방(本方)을 가감(加減)하여 치료(治療)한다.

[ 구성약물(構成藥物)의 수치(修治) ]

◐ 적작약(赤芍藥) : 적작(赤芍)은 적작(赤芍), 주적작(酒赤芍) 등 이종(二種)의 규격(規格)이 있다.

① 주적작(酒赤芍) : 10kg 적작약(赤芍藥)을 1kg 주액(酒液)에 민윤(悶潤)하여 주액(酒液)이 적작약(赤芍藥)에 완전(完全)히 침지(浸漬)하여 색(色)이 심(深)해지면 과내(鍋內)에 치(置)하고 문화(文火)로 초(炒)하여 적작약(赤芍藥)이 미건(微乾)하면 취출(取出)하여 탄양(攤凉)한다.

수치(修治) 후의 효능(效能)

적작약(赤芍藥)을 생용(生用)하면 청열양혈(淸熱凉血)하는 효능(效能)이 강(强)하므로 혈분(血分)에 열(熱)이 있을 때 많이 사용(使用)하고 주적작약(酒赤芍藥)은 활혈지통(活血止痛)하는 효능(效能)이 강(强)하므로 어체종통(瘀滯腫痛)에 많이 사용(使用)한다.

◐ 우슬(牛膝) : 우슬(牛膝)은 우슬(牛膝), 염우슬(鹽牛膝), 주우슬(酒牛膝) 등 삼종(三種)의 규격(規格)이 있다.

① 염우슬(鹽牛膝) : 0.3㎏ 염(鹽)을 1.2-1.5㎏ 청수(淸水)에 타서 10㎏ 우슬(牛膝)을 과내(鍋內)에 치(置)하고 문화(文火)로 초(炒)하여 우슬(牛膝)이 팽창(膨脹)하고 향기(香氣)가 있으면 염액(鹽液)을 분쇄(噴洒)하여 초건(炒乾)한 후 취출(取出)하여 탄양(攤凉)한다.

② 주우슬(酒牛膝) : 10kg 우슬(牛膝)을 1kg 주액(酒液)에 민윤(悶潤)하여 주액(酒液)이 우슬(牛膝)에 완전(完全)히 침지(浸漬)하여 색(色)이 심(深)해지면 과내(鍋內)에 치(置)하고 문화(文火)로 초(炒)하여 우슬(牛膝)이 미건(微乾)하면 취출(取出)하여 탄양(攤凉)한다.

수치(修治) 후의 효능(效能)

생우슬(生牛膝)은 거어(祛瘀)하는 효능(效能)이 강(强)하고, 염우슬(鹽牛膝)은 인약입신(引藥入腎)하여 보신강근골(補腎强筋骨)하는 효능(效能)이 강(强)해지고 주우슬(酒牛膝)은 통락활혈(通絡活血)하는 효능(效能)이 강(强)해진다.

◐ 도인(桃仁) :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을 참조(參照).

◐ 생지황(生地黃), 당귀(當歸)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을 참조(參照).

◐ 천궁(川芎)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을 참조(參照).

◐ 시호(柴胡) :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을 참조(參照).

◐ 지각(枳殼)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을 참조(參照).

◐ 감초(甘草) : 마황탕(麻黃湯)을 참조(參照).

※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과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의 구별(區別)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은 모두 어혈(瘀血)을 치료(治療)하는 방제(方劑)인데,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은 하초축혈증(下焦蓄血證)으로 하복급결(下腹急結)이 심(甚)하고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은 흉중어혈증(胸中瘀血證)으로 흉통(胸痛), 두통(頭痛)이 심(甚)하며 애역(呃逆), 건구(乾嘔), 심계정충(心悸怔忡) 등 증상(症狀)도 일반적(一般的)으로 같이 보인다.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타입을 선택하세요 :

타입을 선택하세요 : BibTex RIS APA Harvard MLA Vancouver Chicago ACS AMA NLM IEEE

@article{ART002076592,

author={김용 and 서일복 and 김순중},

title={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journal={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issn={1229-1854},

year={2016},

volume={26},

number={1},

pages={1-11}

}

TY – JOUR

AU – 김용

AU – 서일복

AU – 김순중

TI –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T2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JO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PY – 2016

VL – 26

IS – 1

PB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SP – 1

EP – 11

SN – 1229-1854

AB –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ulboochucke- tang on the collagenase 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white rats.Methods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Hyulboochucke-tang on intracerebral hemorrhage, intracerebral hemorrhage was induced in the right caudate nuclei of white rats. For normal group (n=12) and comparative group (n=12), saline was dosed, and vaccum evaporated Hyulboochucke-tang extract was dosed to treatment group (n=12), 3 and 10 days after the collagenase injection, the body weight, the brain weight, the size of hematoma, the size of the area of malacia, the number of apoptotic cell and the change in pathological histology were observed.Results3 days after the injection, the brain weight(g) was considerably decreased in treatment group (n=12) compared to comparative group (n=12). The brain weight after 10 days of the injection was also considerably decreased in treatment group (n=6) against comparative group (n=6). The cross section(mm) of cerebral malacia after 10 days of the in-jection was considerably decreased in treatment group (n=6) compared to comparative group (n=6). The number of apoptotic cell in normal intracerebral around the area of mala-cia did not show considerable change between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12 days after the injection, the multiplication of gitter cells, astrocyte and newly formed ca-pillaries around the area of malacia was distinct.Conclusions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gest that Hyulboochucke-tang con-trols swelling caused by hemorrhage and contributes to absorption of hematoma by multi-plication of newly formed capillaries and recovery of damaged cerebral tissue by multi-plication of gitter cells and astrocyte. (J Korean Med Rehab 2016;26(1):1-11)

KW – Hyulboochucke-tang (Xuefuzhuyu-Tang), Intracerebral Hemorrhage, Collagenase, Brain edema

DO –

UR –

ER –

김용, 서일복 and 김순중. (2016).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6(1), 1-11.

김용, 서일복 and 김순중. 2016,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6, no.1 pp.1-11.

김용, 서일복, 김순중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6.1 pp.1-11 (2016) : 1.

김용, 서일복, 김순중.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2016; 26(1), 1-11.

김용, 서일복 and 김순중.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6, no.1 (2016) : 1-11.

김용; 서일복; 김순중.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6(1), 1-11.

김용; 서일복; 김순중.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6; 26(1) 1-11.

김용, 서일복, 김순중. 혈부축어탕이 교원효소로 유발된 흰쥐의 뇌출혈에 미치는 영향. 2016; 26(1), 1-11.

혈부축어탕이 (血府逐瘀湯)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현재 검색어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자동 추천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기능켜기

검색어 입력시 자동으로 관련어를 추천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혈 부축 어탕

다음은 Bing에서 혈 부축 어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Global Service Group Paweł Kapustka | Want To Become 'Global Asset Manager' Outside Of Poland, Says Pzu'S Surowka 빠른 답변
See also  돈 안 갚는 사람 신고 | 돈 빌려줬는데 잠수타는 그 놈을 조지는 방법의 정석 131 개의 자세한 답변

See also  감자 조림 황금 레시피 | 감자조림은 '이 과정'을 거치면 최고의 맛입니다👍 쫀득한 식감과 양념이 환상의 조화입니다 😁 답을 믿으세요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 한의학
  • 한의학강의
  • 한의학 강의
  • 한방 강의
  • 한의학강좌
  • 한의학 강좌
  • 한방 강좌
  • 최형석
  • 축어탕
  • 왕청임
  • 혈부축어탕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YouTube에서 혈 부축 어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축어탕(2) – 어혈 처방 이해하기 | 혈 부축 어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