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언어 교육 |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156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이중 언어 교육 –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전주MBC 다문화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71회 및 좋아요 1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이중 언어 교육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 이중 언어 교육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전라북도교육청에서 다문화가정에 이주여성들을 강사로 활용해 언어교육을 실시한다. ‘2021다꿈 부모나라 언어맞춤형 지원사업’은 다문화가정에게 부모나라의 언어를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전라북도 42개팀에 46명이 진행하고 있다. 자녀들에게는 이중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부모에게는 자신의 모국어를 자녀에게 알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좋은 호응을 받고 있다. 수업 가정을 직접 방문해본다.
#다문화 #이중언어 #외국어

이중 언어 교육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의 요구 분석 – S-Space

가까운 예로 국내의 이중언어교육에서. 영어와 같이 사회적으로 높이 평가되는 언어와 그렇지 못한 언어에 대한 개. 인과 사회의 태도가 달라지고 그것이 아동의 이중언어 …

+ 여기에 보기

Source: s-space.snu.ac.kr

Date Published: 7/9/2021

View: 8553

다문화 가족의 이중언어교육 필요성과 정책 제안*

이중언어 문제가 대두되기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부모로부터 한국어를 제1언어로 물려. 받고 학교 교육도 제1언어로 이루어졌다. 학교에서 제2언어를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wdi.re.kr

Date Published: 4/13/2021

View: 8415

한국 이중언어 교육의 대상과 방식 확장을 위한 제언

현행 시행되고 있는 이중언어교육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및 사회적응과 비 다문화 학생들에게는 단순히 다른 언어를 체험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주 …

+ 더 읽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4/26/2021

View: 3784

이중언어 교육의 오해와 진실 < 교육 < 교육

어려서부터 이중, 삼중 언어를 배워야 하는 아이들…이민자 가정 자녀의 최선의 언어교육은? 어려서부터 다중언어 교육을 시키는 것이 자녀들에게 큰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topdigital.com.au

Date Published: 1/21/2022

View: 3565

[논문]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원문보기. 황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협동과정 국내박사). 초록 ▽. 이 논문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cienceon.kisti.re.kr

Date Published: 5/9/2021

View: 7694

핀란드의 이중 언어 교육

다문화 가정의 부모들 역시 자녀에. 대한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송영복(2010)은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중언어 교육 사례연구를 …

+ 더 읽기

Source: contents.kocw.or.kr

Date Published: 8/29/2021

View: 1177

이중 언어 교육의 이점

이중 언어 교육은 학생의 학습 과정에서 두 가지 언어를 체계적이고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 방식의 목표는 학습자가 학업을 통해 제2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cisp.edu.kh

Date Published: 11/30/2022

View: 5869

자녀 이중언어 교육을 둘러싼 현실과 이상 – SBS

자녀들의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은 모두가 인식하지만 많은 부모들은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그 허와 실을 짚어본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sbs.com.au

Date Published: 9/23/2022

View: 134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론 – 한국외국어대학교 | KOCW 공개 강의

한국외국어대학교. 이재원. 이 강의는 최근의 학문적인 테마꺼리이자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서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핵심이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ocw.net

Date Published: 12/30/2021

View: 654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이중 언어 교육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이중 언어 교육

  • Author: 전주MBC 다문화TV
  • Views: 조회수 871회
  • Likes: 좋아요 13개
  • Date Published: 2021. 11. 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VLFCUovKAQ

한국 이중언어 교육의 대상과 방식 확장을 위한 제언

본 연구는 세계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21세기 교육과제라고 할 수 있는 이중언어교육의 국내 담론과 시행되고 있는 정책 고찰을 통해 국내 이중언어 교육의 문제점과 그해결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현행 시행되고 있는 이중언어교육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및 사회적응과 비 다문화 학생들에게는 단순히 다른 언어를 체험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주여성들의 취업을 위한 정책 중 하나로 시행되고있다. 물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대상과 방식의 실효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대상과 방식의 범위 확장과 교육 방향성을 논하기위함이다. 언어는 한 민족의 정체성이고, 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언어사용이 중요하지만,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단일민족 사상과 동화주의적다문화는 지양되어야 한다. 공존의 삶을 지향하는 상황에서 언어 다양성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전통 이민 국가인 호주와 후발 이민 국가 중 한국과 인접해 있는 일본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한국 이중언어교육 대상의 확장과방식의 범위 확장을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roblems of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direction of policies to solve it through domestic discourse and policy considerations of bilingu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can be called the 21st century education system as globalization accelerates. The bilingual education currently in place is mainly aimed at school and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non-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it is simply aimed at experiencing different languages. It is also implemented as a policy for migrant women to get jobs. Of course, it is not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olicy, but to discuss the scope and direction of education for bilingu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multicultural era. Language use is important in identity formation of Koreans and an important factor in inheriting the culture and tradition of the people. Howeve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single-ethnic ideas or assimilationist multiculturalism should be avoid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guage diversity in the context of coexistence, I would like to suggest a direction for expanding the scope of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which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language diversity.

[논문]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연구

초록

이 논문은 한국 다문화 사회의 방향이 주류 사회로서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동화주의를 넘어서야 한다고 본다. 나아가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종, 민족, 계층, 문화 집단이 균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 받고, 언어·문화 간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상호작용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열린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을 구현하려는 목적 아래, 이중언어 교육이 그 속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사회의…

이 논문은 한국 다문화 사회의 방향이 주류 사회로서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동화주의를 넘어서야 한다고 본다. 나아가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종, 민족, 계층, 문화 집단이 균등한 교육 기회를 보장 받고, 언어·문화 간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상호작용하고 소통할 수 있는 열린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을 구현하려는 목적 아래, 이중언어 교육이 그 속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이란 무엇인가? 둘째, 국내 다문화 정책 내 언어 정책 현황은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해외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은 어떠하며 그 시사점은 무엇인가? 넷째, 국내 다문화 가족 구성원들의 이중언어 교육 현황과 인식은 어떠하며 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다섯째,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중언어 교육 정책의 실행 방안은 무엇인가? 위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크게 국내·외 이중언어 교육 정책 동향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문헌 연구와 국내 다문화 정책의 시혜자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 가족 구성원의 의식을 조사해 보는 양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서 다문화적 이중언어 교육 정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정책 설계의 기본 방향과 프로그램 구현 형태를 제안하고 가시적인 정책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이중언어 교육 정책은 다문화주의를 지향하고, 저항적이고 폐쇄적인 민족주의를 극복하여, 다문화가족 위주의 이중언어 교육뿐 아니라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 확대·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중언어 교육 정책은 처음부터 전면적으로 실행하기보다는 수요자를 위주로 한, 단계적·점진적인 접근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중언어 교육 정책이 정부 정책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하고, 정책적, 재정적 지원은 물론이거니와 교육 현장에서의 다양하고 실험적인 현장 연구를 통해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준비와 검토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 사회, 국가의 모든 측면에서 다양한 문화의 혼재와 공존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소수민들에 대한 시각이 ‘소외계층’이나 ‘결핍된 존재’, ‘지원의 대상’이 아닌 ‘한국 사회의 다문화 역량을 증진시키는 잠재력을 지닌 존재’로 바뀐다면, 이들이 갖고 있는 이중/다중적인 언어·문화적 배경은 국가 간 교류를 매개할 수 있는 미래 사회의 성장 동력이 되며, 일반 국민들에게는 관용과 포용성, 언어 역량을 길러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 사회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연구가 거시적으로는 대한민국의 사회발전과 미시적으로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중 언어 교육의 이점

이중 언어 교육이란 무엇입니까?

이중 언어 교육은 학생의 학습 과정에서 두 가지 언어를 체계적이고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 방식의 목표는 학습자가 학업을 통해 제2외국어를 습득하는 것입니다.

CIS에서 우리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 은 학생들이 다양한 사회에서 글로벌 시민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영어 외에 선호하는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중 언어 교육은 학생들이 두 언어를 마스터하고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인식을 넓힙니다. 우리의 목표는 학생들이 단순히 연구 주제가 아니라 매개체이자 교수 및 학습 수단으로 사용되는 문화 간 의사 소통에 깊이 관여하는 것입니다.

이중 언어 프로그램은 어떻게 작동합니까?

등록하면 자녀는 추가 비용 없이 프랑스어 또는 북경어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앨버타주 학습 프로그램에 따라 상급 유치원 또는 1학년에서 시작하여 8학년까지 계속되는 이중 언어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영어와 목표 언어 사이에 약 60/40 시간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린이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두 언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능력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상급 유치원 또는 1학년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선호하는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대상 언어에 대한 사전 경험은 필요하지 않으며 부모가 해당 언어에 유창할 필요도 없습니다. 보다 빠른 학습 경험을 위해 이미 프랑스어 또는 북경어에 익숙한 학생은 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이후 학년 수준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BBC.com의 Gaia Vince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75%는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삶의 방식이라고 합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전환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우리는 각 학생에게 다양한 문화를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것이 세계 시민의 길입니다.

이중 언어 프로그램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이중 언어 교육은 문제 해결, 추론, 비판적 사고 및 창의성과 같은 중요한 인지 능력을 개발합니다.” 이중 언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Kimm Renaud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것은 다른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역사에 더 개방적이며, 무한한 경험을 위한 언어 장벽을 제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새로운 정체성을 탐구함으로써 어린 나이에 어린이의 지평을 넓힌다는 사실 외에도. CIS에서 이중 언어 프로그램이 끝날 때까지 아동이 유창하게 습득하게 될 언어는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자신감과 자부심을 심어주어 아동이 보다 표현력 있고 다양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 참여할 준비가 되도록 할 것입니다.”

이 이중 언어 프로그램의 결과는 무엇입니까?

다음은 부모 Ms. Christina Liu가 아들의 이중 언어 학습 여정에 대해 말한 내용입니다.

“Richard를 CIS의 프랑스어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등록한 것은 Richard의 교육과 관련하여 내가 내린 최고의 결정 중 하나입니다. 프랑스어 교사가 Richard에게 프랑스어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을 때 저는 정말 기뻤습니다! Richard의 개선은 분명합니다. 그는 단순히 프랑스어 소리를 좋아하는 것에서 언어의 아름다움을 이해하는 법을 배우는 것으로 발전했습니다(좋아하는 선생님과 함께 배우는 것은 항상 영감과 관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최근 Richard는 첫 번째 프랑스어 레벨 테스트 DELF A1을 높은 점수로 통과했습니다. 나는 그를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언어 교육에 대한 다년간의 경험과 언어에 대한 끝없는 사랑을 결합한 팀으로 우리는 학생들의 지평을 확장하는 이중 언어 사고의 힘을 믿습니다. 프랑스어 또는 북경어 이중 언어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가 새로운 차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자녀를 위한 북경어 또는 프랑스어 이중 언어 교육에 관심이 있으십니까? – 자세한 내용은 입학팀( [email protected] )으로 문의하십시오.

자녀 이중언어 교육을 둘러싼 현실과 이상

이중 언어 교육

어린이이 뇌: 사용 가능 언어 무한대

유아 대상 이중언어 교육, “말을 더디게 할 수있다”는 허상

이중언어 교육, 어휘 습득력 배가

이중언어 구사 시 사회적 인지적 이점 다수

Advertisement

호주와 같이 영어가 국가공용어인 국가에서는 자녀를 이중언어 능통자로 양육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부모의 모국어가 널리 사용되지 않는 경우 자녀의 이중언어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끈기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통념을 짚어보고, 자녀의 성공적인 2개 국어 구사를 위해서는 어떤 방식의 접근법이 필요한지 함께 이야기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민자들의 경우 정말 자녀를 낳게 되면 반드시 거쳐 가는 고민일 것 같아요.

과연 자녀에게 우리 말을 영어와 더불어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인데요. 실제로 두개 이상의 언어를 배우는 것이 많은 이점이 있다고 하지요?

리포터: 네 그렇습니다. 이중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면 자녀들에게 많은 사회적, 인지적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노력할 가치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합니다.

진행자: 이중언어를 어렸을 때부터 학습하여 구사하는 것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 만큼이나 다양한 신화와 불신 역시 팽배한 것이 사실인데요. 일단 어린 아이에게 여러 언어를 동시에 가르치는 것이 학습에 있어 부담이나 과부하가 아닌지 우려하는 경우가 많아요.

리포터: 네, 사회언어학자인 로이 리싱 박사에 따르면 아이들의 뇌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서로 다른 언어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제대로 올바른 방식으로 배우기만 한다면 전혀 과부하가 될 부분은 없다는 건데요. 리싱 박사는 연구 결과 실제로 뇌가 학습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의 숫자는 정해져 있지 않다는 사실이 나타났다고 밝히며, 질적으로 우수하고 풍부한 양의 언어적 콘텐츠를 입력한다면 어린이의 두뇌에는 학습할 수 있는 언어의 수에 제한이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실수를 하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실수를 하면서 해당 부분에 대한 올바른 내용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 습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흥미롭네요. 또한 일반적으로 흔히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아이들의 경우 말을 더디게 할 경우가 많다는 건데요.

리포터:네, 실제 말이 느린 아이들도 있겠지만, 과학적 연구 결과만 봤을 때에는 이중언어를 배운다고 해서 말문이 더디게 트인다는 증거가 없다고 합니다. 2개 국어를 구사하는 아이들의 경우 처음에 말을 배우기 시작할 때 같은 대상에 대해 두 가지 언어를 통해 어휘를 습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결국 아이가 배우게 되는 전체 어휘량에서 봤을 때 한 가지 언어만을 습득하는 아이들보다 한번에 어휘를 습득할 때 각 언어별로 더 적은 수의 단어를 습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말을 배우는 과정에 있는 아이들만을 놓고 봤을 때는 이러한 특징 때문에 발달이 지연되는 것처럼 보일 수가 있다고 하는데요. 중요한 것은 자녀가 사용하는 어휘량보다는, 아이가 어떤 말을 이해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진행자: 그렇죠.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아이들의 경우 한 가지 언어 체계만을 통해 배우는 아이들보다 훨씬 더 많은 단어 집합을 가지게 될 테니 어떻게 보면 언어적 자산을 두 배로 갖게 되는 것이죠.

리포터: 맞습니다. 이 때문에 인지적 발달이나 사회적 발달에 있어 더 풍부한 표현 체계를 갖게 되는 것이고 이는 결국 이중언어 구사의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진행자: 그렇다면 이중언어를 가르치려고 하는 부모의 입장에서 아이와 어떤 언어로 소통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흔히들 하는 고민이 아이가 밖에서 영어로 소통하면 집에 와서는 한국어를 안쓰려고 한다던지, 어린 아이들의 경우 집에서 부모가 한국어만 사용하면 밖에서 영어를 쓰는 것을 두려워 한다던지 이런 극단으로 가는 문제도 심심찮게 발생하는 것 같은데요.

리포터: 네, 맞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많이들 하는 얘기가 한 부모는 한 언어를 쓰고, 다른 부모는 다른 언어를 사용해서 아이와 소통해야 아이가 두 언어 다 골고루 배울 수 있다고 하는데요. 전문가들은 이러한 접근방식이 추천할 만하지는 않다고 평합니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부모 두 명이 각각 다른 언어만을 사용해서 아이와 소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아이가 자라며 대화의 양이 늘고 깊이가 깊어 질수록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략이 아니라는 건데요. 언어학자인 아니코 하토스 박사에 따르면 이러한 한부모 한 언어 전략을 통해 언어를 습득한 아이들의 경우 4명 가운데 한명은 이중언어 구사에 실패한다고 합니다.

진행자: 4명 가운데 1명 꼴이면 상당한 숫자인데요. 오히려 그런 방식의 교육이 아이들에게 혼란을 주는 걸까요?

리포터: 그렇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경우 두 부모와 두 언어를 뚜렷하게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문제는 영어를 사용하는 부모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부모의 문화나 전통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아이가 자라며 집 밖에서도 영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가족 갈등이나 가족 활동에서의 배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아무래도 영어가 공용어인 나라에서는 영어 외의 다른 언어로 자녀와 소통하는 부모가 전체 가족 활동 등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겠죠.

리포터: 그렇습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더 나은 교육방식은 바로 부모가 한 언어를 쓰되 상황에 따라 언어 사용을 바꿔 나가는 방식인데요. 예를 들어 가족끼리 집에 있을 때는 한국어를 사용하지만 교회에 나가면 다 함께 영어를 사용하는 접근 방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그러면 가족이 언어에 따라 나뉘는 느낌 없이 상황과 장소 별로 언어를 바꿔 나가니까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이해하기는 훨씬 쉽고 융통성 있을 것 같네요. 그런데 이런 경우에는 아이가 어릴 경우에는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한국어만 사용하는 시간이 더 많을 텐데, 그러다 보면 아이가 어린이집이나 학교에 가야 할 시기가 되었을 경우 영어를 잘 못해서 걱정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리포터: 네 그렇습니다. 실제로 이중언어 구사 가족 가운데 자녀의 취학 시기가 다가오면서 자녀의 영어 구사력 때문에 걱정하는 가족들이 많은데요. 전문가들은 오히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합니다. 영어를 잘 못한 채 학교에 진학하더라도 금방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겁니다. 특히 이민자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라면 영어가 제2외국어인 학생들을 위해 추가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학교에 다니며 친구들과 어울리게 되면 자연히 영어 구사력도 그에 맞춰 늘게 된다는 것을 많은 이들의 경험이 방증한다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일단 가정에서는 영어보다 더 소수의 인구에서 사용하는 모국어에 초점을 맞춰 가르치는 것이 잘못된 전략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진행자: 그렇군요. 이렇게 이중언어 구사자로 훌륭하게 성장하게 되면 자녀들의 전반적인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죠?

다문화 이중언어 교육론

주제분류 인문과학 >언어ㆍ문학 >한국어학

강의학기 2012년 2학기

조회수 9,196

이 강의는 최근의 학문적인 테마꺼리이자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서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논의가 핵심이다. 이 강의는 세계에서 다문화를 토대로 한 이중언어교육에 대해서 연구하고 공부하는 것이 목적이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이중 언어 교육

다음은 Bing에서 이중 언어 교육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자넷 김 소아과 | \"어린이는 코로나19에 걸려도 괜찮다?!\" 소아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어린이 건강 Q\U0026A | 랜선닥터 #14 모든 답변
See also  잠깐 사정이 있습니다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아직 안봤으면, 아니 봤어도 또 봐야하는\" 레전드 드라마 몰아보기 상위 50개 답변

See also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 무료 | 이력서,업무보고서 등 여러가지 양식 무료 다운로드 받기. 127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 다문화
  • 다문화 사회
  • 다문화가정
  • 다문화 뜻
  • 다문화 이해
  • 다문화 교육
  • 다문화 포스터
  • 다문화 차별
  • 다문화 영화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문화갈등
  • 다문화방문지도사
  • 다문화교육
  • korea
  • koreatv
  • 전주
  • jeonju
  • 전주mbc
  • jeonjuMBC
  • MBC
  • tv
  • 다문화방송
  • 방송
  • 다문화다큐
  • 다큐
  • 전북
  • 전라북도
  • 전주방송
  • 전북방송
  • 다문화 가정
  • 다문화 결혼
  • 다문화 결혼 이주
  • 외국인
  • 외국
  • 다문화 센터
  • 전주 다문화
  • 전주 다문화센터
  • 전북 다문화
  • 전북 다문화센터
  • 다문화 방송
  • 다문화 추천
  • 귀화
  • 이중언어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YouTube에서 이중 언어 교육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多)가치] 다문화가정에게 이중언어 학습 기회를 주다✍️│다문화│외국인 | 이중 언어 교육,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