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제조 과정 |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143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위스키 제조 과정 –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Zattwo ZVS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97,679회 및 좋아요 18,69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위스키 제조 과정
  1. 보리(맥아) 제조 (Malting Barley) 위스키 제조를 시작하는 방법은 쉽습니다. …
  2. 제분(Milling) …
  3. 당화(Mashing) …
  4. 발효(FERMENTATION) …
  5. 증류(DISTILLATION) …
  6. 숙성(MATURATION) …
  7. 블렌딩(BLENDING) …
  8. 병입(BOTTLING)

Table of Contents

위스키 제조 과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 위스키 제조 과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술은 위스키입니다.
위스키의 재료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위스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오늘은 위스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중 참고자료는 이해를 돕기위한 내용으로
실제 연대기와 다소 불일치할 수 있으며
자료과 사건은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다소 의역이 있습니다.
#양주 #위스키 #싱글몰트위스키

-내용출처
– Glanfidic Distillery
(OUR CRAFTSMEN)
https://www.glenfiddich.com/ko/craftsmen/
– Whisky.com
(Introduction to the Cask Maturation of Whisky)
https://www.whisky.com/information/knowledge/production/background-knowledge/introduction-to-the-cask-maturation-of-whisky.html
-Scotch Whisky Association
https://www.scotch-whisky.org.uk/
-United States federal regulations
(\”Standards of Identity for Distilled Spirits, Title 27 Code of Federal Regulations, Pt. 5.22)
https://www.govinfo.gov
-음원
Allada By Kevin MacLeod
Kevin MacLeod의 Allada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에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http://incompetech.com/music/royalty-free/index.html?isrc=USUAN1500001
아티스트: http://incompetech.com/
Prelude No. 16 By Chris Zabriskie
Chris Zabriskie의 Prelude No. 16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에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http://chriszabriskie.com/preludes/
아티스트: http://chriszabriskie.com/
외 3
감사합니다.
항상 유익하고 발전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ZVS

위스키 제조 과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위스키 제조과정 이해하기 – 네이버 블로그

위스키 제조과정은 몰팅(Malting) → 제분(Milling) → 매싱(Mashing) → 발효(Fermentation) → 증류(Distillation) → 숙성(Maturation) → 병 …

+ 여기를 클릭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10/2021

View: 9752

위스키(Whisky) 3요소 그리고 만들어지는 과정(7단계)

1. 몰팅(Malting). 수확한 보리를 맥아(싹을 틔운 보리)로 만드는 작업으로 위스키 제조의 첫 단계입니다. · 2. 매싱(Mashing) 또는 당화 · 3. 발효( …

+ 여기를 클릭

Source: gwangtender.tistory.com

Date Published: 10/15/2021

View: 7290

위스키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위스키 제조 과정 – 레몬하트

위스키는 몰팅, 매싱, 발효, 증류,숙성,병입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본 그림은 ‘Great Drams’의 ‘Greg’의 글을 번역한 것. 1. 몰팅(Malting).

+ 여기에 보기

Source: lemon-hart.tistory.com

Date Published: 2/13/2021

View: 6325

위스키 주요 원료와 제조 과정 – 정보왕 카누아빠

위스키 제조 과정 · 1. 준비과정(Prepartation) = 몰팅(Malting) · 2. 매싱(Mashing) · 3. 발효(Fermentaion) · 4. 증류(Distillation) · 5. 오크통에 담기 · 6.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yhj1826.tistory.com

Date Published: 7/25/2021

View: 9465

위스키란 무엇인가요? (2편, 제조 과정) – life of dignity

위스키란 무엇인가요? (2편, 제조 과정) · 1. 맥아(Malting) · 2. 당화(Mashing) · 3. 발효(Fermenting) · 4. 증류(Distilling) · 5. 숙성(Aging) · 6. 병입(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sejongnc.tistory.com

Date Published: 2/17/2021

View: 1141

스카치 위스키의 제조 – 베버리지뉴스 – LIQUOR – 위스키와 증류주

위스키 제조공정 • 원료 : 원료 보리는 주로 골든 프로미즈(Golden promise)종과 옵틱(Optic)종이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호밀, 밀,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beveragenews.co.kr

Date Published: 6/24/2021

View: 1643

[위스키] 오크통에서 숙성되는 호박색 생명수 – 위스키 제조 방법

1. 먼저 대맥(大麥)을 싹 틔운 몰트에 스코틀랜드 지방에서 캐낸 이탄(泥炭)으로 훈향(薰香)하면서 말립니다. 훈향한 몰트를 당화(糖化)한 후에 효모를 …

+ 여기에 보기

Source: aligalsa.tistory.com

Date Published: 1/24/2021

View: 7404

스카치위스키 제조과정 (feat. 증류) – 설쥐아빠의 투자여행

스카치위스키 제조과정 (feat. 증류) 안녕하세요~ 설쥐아빠예요~ 이번 시간에도 저번 시간에 이어서 위스키 제조과정에 대한 포스팅이에요.

+ 여기에 표시

Source: schrysalis.tistory.com

Date Published: 9/30/2022

View: 702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위스키 제조 과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위스키 제조 과정

  • Author: Zattwo ZVS
  • Views: 조회수 1,097,679회
  • Likes: 좋아요 18,696개
  • Date Published: 2019. 8.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Aa8xlkhBww

위스키가 제조되는 과정

뉴스레터 가입

국가 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미국령 사모아 안도라 앙골라 앙귈라 남극 대륙 앤티가 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아루바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아제르바이잔 바하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바베이도스 벨로루시 벨기에 벨리즈 베냉 버뮤다 부탄 볼리비아 보네르, 세인트 유스타티유스 및 사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부베 섬 브라질 영국령 인도양 지역 영국령 버진 제도 브루나이 불가리아 부르키나 파소 부룬디 캄보디아 카메룬 캐나다 카보베르데 케이맨 제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칠레 중국 크리스마스 섬 코코스 제도 콜롬비아 코모로 쿡 제도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쿠바 퀴라소 키프로스 체코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덴마크 지부티 도미니카 도미니카 공화국 동티모르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적도 기니 에리트리아 에스토니아 에티오피아 포클랜드 제도 페로 제도 피지 핀란드 프랑스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스령 남방 지역 가봉 감비아 조지아 독일 가나 지브롤터 그리스 그린란드 그레나다 과들루프 괌 과테말라 건지 기니 기니비사우 가이아나 아이티 허드 맥도널드 제도 온두라스 Hong Kong SAR 헝가리 아이슬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아일랜드 맨 섬 이스라엘 이탈리아 코트디부아르 자메이카 일본 저지 섬 요르단 카자흐스탄 케냐 키리바시 코소보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라트비아 레바논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Macao SAR 마케도니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레이시아 몰디브 말리 몰타 마샬 군도 마르티니크 모리타니아 모리셔스 마요트 멕시코 미크로네시아 몰도바 모나코 몽골 몬테네그로 몬트세라트 모로코 모잠비크 미얀마 나미비아 나우루 네팔 네덜란드 네덜란드령 앤틸리스 제도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니카라과 니제르 나이지리아 니우에 노퍽 섬 북한 북마리아나 제도 노르웨이 오만 파키스탄 팔라우 팔레스타인 자치 구역 파나마 파푸아뉴기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핏케언 폴란드 포르투갈 푸에르토리코 카타르 콩고 공화국 레위니옹 루마니아 러시아 르완다 생바르텔레미 세인트 헬레나 세인트 크리스토퍼 네비스 세인트 루시아 세인트 마틴 생피에르 미클롱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제도 사모아 산마리노 상투메 프린시페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세르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이셸 시에라리온 싱가포르 신트마르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솔로몬 제도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사우스 조지아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 대한민국 남수단 스페인 스리랑카 수단 수리남 스발바르 얀마옌 제도 스와질란드 스웨덴 스위스 시리아 Taiwan Region 타지키스탄 탄자니아 태국 토고 토켈라우 통가 트리니다드 토바고 튀니지 터키 투르크메니스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투발루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 우간다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연합국 영국 미국 우루과이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 바티칸 베네수엘라 베트남 월리스 푸투나 서사하라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

생년월일

위스키 제조과정 이해하기

위스키 제조과정은 몰팅(Malting) → 제분(Milling) → 매싱(Mashing) → 발효(Fermentation) → 증류(Distillation) → 숙성(Maturation) → 병 주입(Bottling)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이제는 위스키 제조과정을 보다 간단하고 한눈에 이해하기 쉽게 소개합니다.





◘ 위스키 제조과정(The Whisky Making Process)

☞ “위스키 제조과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볼 수 있습니다.





1. 몰팅(Malting)

몰팅(Malting)은 보리를 맥아(Malt)로 만들기 위하여 씨앗에서 싹이 트도록 발아(germination,發牙)를 관리하는 것이며, 보리가 녹말을 발효할 수 있게 충분한 양의 당분과 효소를 함유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 몰팅 플로어 : 지하 콘트리트 바닥에 보리를 펼쳐 놓고 싹이 트도록 발아시킨다. 약 1~2주 소요되는 과정 중 고른 발아를 위해 약 4시간에 한 번씩 갈퀴로 전체 보리를 뒤집어 주어야 한다. 발아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당화효소인 디아스타제가 생성되면 덜 마른 보리를 건조시켜야 한다. 건조시키기 전 보리에는 50% 정도의 수분이 남아 있고 전분은 부분적으로만 당분으로 바뀐다.

▶ 몰트 가마(Malt Kiln) : 맥아를 가마로 옮겨서 토탄불로 훈연한다. 흙 속에 묻힌 화석화된 나무가 오랜 세월이 지나 탄화된 토탄은 일반 석탄보다 훨씬 많은 맵고 기름기가 있는 연기를 내며 타고 이연기가 훈연 중 보리 낱알에 스며들어 맥아에 스모키한 향을 형성하게 되면서 몰트 위스키의 독특한 맛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건조 과정은 2~3일간 진행되며, 건조가 끝나면 보리의 습도는 3%로 내려간다.

2. 제분(Milling)

건조된 맥아의 당분이 물과 더 쉽게 반응하여 발효가 촉진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가루를 내는 과정이다. 드레싱 기계에서 맥아를 깨끗하게 씻고 나서 분쇄기를 통해 제분한 맥아를 엿기름(Grist)이라고 한다.

3. 매싱(Mashing)

매싱은 전분, 당분, 효소 등 제분된 맥아의 내용물이 모두 물에 용해될 수 있도록 커다란 원통형인 당화조(Mash Tun)에 담가두면 맥아 속 당화 효소인 디아스타제에 의해 전분이 당분으로 변하는 과정이며, 이 당분 용해액을 맥아즙(Wort)이라고 한다.

제분된 맥아 가루에 63~68도의 뜨거운 물을 붓는다. 맥아 가루 1/4에 물 3/4으로 구성된 이 혼합물은 회전 날개가 설치된 당화조(Mash Tun)로 보내진다.

뜨거운 물 속에서 몇 시간이 지난 뒤 걸쭉해진 맥아의 전분은 맥아당으로 변하는데, 이 과정에서 당분이 생긴 맥아즙을 큰 원통으로 된 언더백(Underback)으로 흘려보낸다.

뜨거운 물을 두 번 더 첨가하여 남아 있는 당분을 충분히 추출한다. 새로운 맥아즙은 먼저 흘려보낸 맥아즙과 합친 뒤 23도로 냉각된 통 속에서 곧바로 식힌다.

4. 발효(Fermentation)

발효란 맥아즙의 당분 속에서 효모가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알코올과 이산화탄소 등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맥아즙을 워시백(Wash Back)이라는 커다란 통에 담은 뒤 효모(이스트/Yeast)를 첨가하여 발효시키게 된다.

맥아즙은 워시 백에서 2~3일 정도 지나면 알코올 함량 7~8%의 액체가 된다. 이것이 바로 맥아로 만들어진 워시(Wash)이다. 발효된 워시는 증류를 거치기 전에 저장 양조 통으로 보낸다.

5. 증류(Distillation)

증류란 워시에 열을 가하여 효모의 활동을 멈추게 하며, 물과 알코올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높은 도수의 알코올을 추출하기 위한 과정이다.

▶ 워시스틸(Wash Still) : 1차 증류기인 워시 스틸에서 워시를 증류하는데, 워시 스틸은 직접 불을 가하거나 증기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법을 쓴다. 워시를 가열하면 알코올의 끓는점이 물의 끓는점보다 낮으므로 알코올이 물보다 먼저 증발하게 되는데, 이 기체를 모아서 냉각하면 알코올 농도가 높은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액체를 모은 것이 바로 알코올 함량 20%의 로우 와인(Low Wine)이다.

▶ 스피릿 스틸(Spirit Still) : 1차 증류기에서 모은 액체인 로우 와인은 2차 증류기인 스피릿 스틸에서 증류한다. 처음 흘러나온 부분인 초류(Foreshots)와 마지막으로 나오는 부분인 페인츠(Feints)는 불순물(알데히드나 퓨젤 오일)이 많기 때문에 그 부분만 모아서 1차 증류기인 워시 스틸로 보내 다시 증류하고 중간에 흘러나온 액체(중류)만 리시버로 보낸다. 2차 증류기를 통과한 알코올은 보통 65~70도인데,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63.5도로 희석시킨 뒤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6. 숙성(Maturation)

증류한 스피릿은 오크통에 넣어 숙성 과정을 거친다. 숙성 시 사용하는 오크통의 종류와 기후는 위스키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숙성 과정은 위스키의 최종 풍미에 최대 60%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증류주는 통 안에서 맛과 향과 관련된 여러 요소를 주고받는데, 특히 나무의 물관을 통해 서서히 산화되면서 부드러워진다. 오크통의 크기에 따라 숙성 속도도 달라진다. 통이 작을수록 숙성이 빠르게 진행되고 통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천천히 숙성된다.

저장해둔 오크통의 저장 위치에 따라 또는 숙성 및 생산 연도에 따라 각 통의 위스키는 모두 맛과 향 그리고 색이 미묘한 차이를 나타낸다.

7. 병 주입(Bottling)

병 주입이란 말 그대로 숙성된 위스키를 병에 담는 과정이다. 병입이라고도 하며 어떻게 담느냐에 따라 종류가 달라진다. 싱글 몰트 위스키로 불리기 위해서는 오직 한 증류소에서 만들어진 몰트 위스키만을 담아야 한다. 만약 한 곳 이상의 증류소에서 만들어진 몰트 위스키들이 섞여 있다면, 이는 블렌디드 몰트 위스키라고 불리게 된다. 만약 몰트 위스키가 그레인 위스키와 섞이면 이는 블렌디드 위스키라고 부른다.

보통의 위스키들은 부드러운 물(Soft Water)을 부어 도수를 40~45%사이의 알코올 함유량으로 병입하면 시판 가능한 몰트 위스키가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위스키(Whisky) 3요소 그리고 만들어지는 과정(7단계)

위스키(Whisky)는 무엇으로 만들어질까요? 정말 단순하고 심플한 재료만으로 위스키(Whisky)는 만들어집니다.

위스키는 보리, 물, 효모로 만들어집니다. 다른 첨가물은 절대 들어가지 않습니다. 단순한 3가지 재료들의 화학반응에 의해 다양한 풍미의 위스키가 만들어집니다.

1. 곡물

보리로 맥아를 만드는 <몰팅(Malting)> 과정은 위스키 제조에 있어서 가장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입니다. 싱글몰트 위스키의 경우 보리의 선택이 모든 것의 기본이 됩니다. 이유는 재료 중 위스키의 풍미를 만드는 대부분은 보리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직접 보리를 선택하는 증류소는 몇 군데 없고, 대부분 맥아 제조소(Malt House)에 대행하고 있습니다. 맥아 제조소는 매년 동일한 품질을 만들기 위해 스코틀랜드 보리뿐만 아니라 영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수입한 보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스키를 만들 때 보리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옥수수를 이용한 버번위스키, 호밀을 이용한 라이 위스키가 있고, 기타 밀, 메밀, 귀리 등 다양한 곡물로 위스키를 만들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보리로만 만든 싱글몰트 위스키가 가장 풍미가 있는 위스키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버번 위스키, 라이 위스키만의 풍미도 좋습니다.

2. 물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깨끗한 물이 좋은 위스키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 유는 위스키의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의견에 대해서는 저도 동의하고 있습니다. 위스키의 제조과정을 들여다보면 그 이유가 더 확실해지는데, 몰팅, 증류, 병입까지 위스키를 제조하는 대부분의 과정에서 많은 물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물은 많은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습니다.

싱글몰트 위스키 1병을 만들기 위해서 평균 보리 1.4kg과 물 10L가 필요합니다.

글렌모렌지나 하일랜드 파크 등의 증류소는 미네랄 성분이 많이 함유된 물인 ‘경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타 대부분의 스코틀랜드 증류소의 경우 약산성을 띄는 ‘암반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이하게 이탄층에 스며든 물인 ‘이탄수’를 사용하는 증류소는 보모어, 라가불린 등이 있습니다.

3. 효모

효모를 넣는 것은 위스키의 아로마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하기 위해 증류소마다 제조법을 가지고 다르게 넣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증류소는 효모 제조법을 비밀로 하고 있고 1~7종까지 증류소마다 다른 노하우로 효모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스키의 제조 7단계

몰팅(Malting) – 매싱(Mashing) – 발효(Fermentation) – 증류(Distillation) – 오크통 담기 – 숙성(Aging) – 병입(Bottling)

1. 몰팅(Malting)

수확한 보리를 맥아(싹을 틔운 보리)로 만드는 작업으로 위스키 제조의 첫 단계입니다. 몰팅은 총 4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물에 담그기

물이 담긴 통에 2~3일간 보리를 불립니다. 보리 안으로 수분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게 합니다.

2) 싹틔우기

공기가 잘 통하고 빛이 들어오지 않는 곳에 30cm 정도의 두께로 펼쳐 8시간마다 뒤집어 가며 싹을 틔워줍니다. 보통 싹이 2~3cm 정도 올라오면 싹틔우기를 끝냅니다. 현재는 기계를 이용해 보리를 뒤집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 건조

6일 정도 싹틔우기 한 맥아를 가마에 옮겨 석탄, 이탄 등을 이용해 열을 가하여 추가적인 발아를 막아주는 과정입니다. 이때 건조하는 시간과 연료의 종류가 위스키 아로마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이탄 같은 재료로 건조를 할 경우 이탄 특유의 향이 위스키에 들어갑니다.

*이탄의 역할은?

이탄을 태우면 향이 강하고 진한 연기가 나는데, 이 연기가 맥아에 스며들면서 이탄 특유의 향을 위스키에 만들어 줍니다. 이탄 향은 보통 위스키에 약품, 재, 스모키한 향들을 만들어 줍니다. 위스키를 마실 때 피트하다는 표현은 이탄으로 인한 향이 얼마나 강한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탄향이 강한 위스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병원의 소독약 맛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탄향이 강할수록 방향족 화합물인 페놀수치가 높습니다. 보통 30ppm 이상일 경우 강한 이탄향을 맡을 수 있습니다.

4) 분쇄

건조된 맥아를 분쇄해 가루로 만듭니다. 이 가루를 그리스트라고 합니다.

2. 매싱(Mashing) 또는 당화

몰팅에서 얻은 그리스트를 당화조에 뜨거운 물과 섞어 전분을 발효당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그리스트와 물은 1:4의 비율로 섞고 물의 온도는 65도를 넘지 않게 해야 합니다. 65도가 넘으면 효소가 죽어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매싱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맥아즙은 여과되어 언더백(밸효전 맥아즙을 모아두는 통)으로 이동합니다.

3. 발효(Fermentation)

당화 과정으로 생성된 당이 효모에 의해 알코올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워시백(발효를 하는 통)에 23도로 온도를 낮춘 맥아즙을 2/3정도 채운 후 효모를 넣어 발효시킵니다. 통의 1/3은 발효과정으로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공간을 남겨둬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효모는 자연효모 또는 배양효모가 사용됩니다. 자연효모를 사용할 경우 매우 풍부한 향을 만들지만, 불균일하고 결과물이 매번 다를 수 있습니다. 배양효모의 경우 좀 더 균일한 결과를 갖기 때문에 대부분의 증류소는 배양효모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발효는 48시간 정도 지속되고 거품과 열이 발생합니다. 발효가 끝나면 워시(Wash)라고 부르는 알코올 도수 8% 정도의 시큼한 맥주가 만들어집니다.

4. 증류(Distillation)

알코올과 물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알코올을 분리해 내는 과정을 즐류라고 합니다. 알코올의 끓는점은 80도이고 물은 100도 이기 때문에 가열온도를 80도 보다 약간 높게 유지해 알코올 성분만 증류해냅니다.

증류는 단식증류와 연속증류로 나뉩니다. 단식증류의 경우 주로 싱글몰트 위스키를 만들 때 주로 사용됩니다. 기본 2번 증류하고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진 단신 증류기를 사용합니다. 1차 증류기(워시 스틸) – 2차 증류기(스피릿 스틸)을 차례로 거쳐 1차 증류 때는 알코올 도수 20~25% 정도의 로와인(Low Wine)이 만들어지고, 2차 증류에서는 컷 작업이 진행됩니다. 여기서 컷(Cut) 작업이란 1차 증류에서 얻은 로와인을 3단계로 분류하는 과정으로 초류(Head, Foreshots) – 중류(Heart, Middle Cut) – 후류(Tail, Feints)로 순차적으로 분류됩니다.

초류(알코올도수 72~80%)는 2차 증류에서 처음 나온 용액으로 아세톤과 메탄올을 함유하고 있어 마실 수 없는 상태입니다.

중류(알코올도수 68~72%)는 위스키가 되는 부분으로 3년 이상 숙성을 거쳐 위스키로 탄생합니다.

후류(알코올도수 60% 이하)는 2차 증류 마지막에 나오는 용액으로 물을 첨가하면 푸른색으로 변하고 대부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연속증류는 보통 그레인위스키를 만들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기둥처럼 생긴 컬럼스틸(Column Still)이라는 증류기를 사용합니다. 중단 없이 1번에 연속으로 증류가 되기 때문에 거의 100%에 가까운 증류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5. 오크통에 담기

위스키가 오크통에 담겨 숙성되는 동안 다양한 향과 색이 만들어집니다. 오크통은 대부분 미국산 흰 참나무로 만들어지고 거의 90%가 이 나무로 만들어 집니다.

6. 숙성(Aging)

사용된 오크통과 숙성기간에 따라 다양한 아로마가 형성됩니다. 숙성기간이 짧은 위스키나 버번위스키는 달콤한 바닐라 향이 강하고, 20년 이상 숙성된 위스키에서는 보통 코코넛 밀크 향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현재 아로마를 더 풍부하게 하기 위해 쉐리와인이나 버번위스키를 숙성했던 오크통에 위스키를 숙성하는 시즈닝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스키는 숙성되는 동안 조금씩 증발하는데, 이것을 <천사의 몫(Angel's Share)>라고 합니다. 보통 스코틀랜드에서는 매년 2% 정도 증발하고 시원하고 습할수록 증발량이 적어집니다. 때문에 스코틀랜드에서 위스키 산업이 발달할 수 있었지만 기타 아시아 지역은 덥고 건조하기 때문에 증발량이 높아 위스키 제조가 어려워 위스키 산업이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또한 위스키가 숙성되는 지역에 따라 지역 환경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아로마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한 증류소에서 증류한 위스키를 동시에 오크통에 채워 숙성을 해도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아로마, 색, 알코올 도수 등이 나타나기 때문에 최대한 일정한 품질을 만들기 위해 위스키들을 섞은 블렌딩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7. 병입

숙성이 끝난 위스키는 알코올 도수가 최소 64% 정도입니다. 그냥 마시기에는 너무 높은 알코올 도수이기 때문에 보통은 물을 섞어 알코올 도수를 40~46%로 낮춰 여과한 후 병입 하게 됩니다.

병입하는 방법에 따라 공식병입(OB, Officail Bottling), 독립병입(IB, Independent Bottling), 캐스크 스트렝스(Cask Strength), 싱글 캐스크(Single Cask)로 구분합니다.

공식병입(OB, Official Bottling)은 위스키를 만든 증류소에서 직접 병입까지 한 것을 말합니다.

독립병입(IB, Independent Bottling)은 다른 증류소의 숙성이 끝난 오크통을 사서 개별적으로 병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캐스크 스트렝스(Cask Strength) : 물을 섞지 않고 오크통 원액을 그대로 병입한 것으로 알코올 도수가 60% 이상입니다.

싱글 캐스트(Single Cask) : 한 오크통에서 숙성된 위스키로만 만들어진 위스키라는 뜻으로 캐스크 스트렝스와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물이 섞일 수 있습니다.

위스키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위스키 제조 과정

위스키에 대한 관심이 생기면서, 제일 먼저 위스키 제조 과정이 궁금해졌다.

위스키의 제조 과정은 예술과 과학의 절묘한 그 어딘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척이나 어렵고도 재미가 있다.

이 과정을 알고나서야 흔히들 말하는 피트향이라든지, 쉐리 오크라든지 하는 위스키 용어들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위스키는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질까?

이것만은 알아두자!

위스키는 보리에 싹을 틔워 발효 시킨 액체를 증류한 뒤 숙성한 술이다!

중요한 것은 모두 나왔다(단, ‘보리’라 지칭한 것은 특히 싱글몰트 위스키에 해당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제조 과정은 싱글몰트 위스키의 제조 과정이다)

약간만 더 자세히 말하자면

1. 보리에 물을 먹여 싹을 틔운 뒤 건조하고(맥아 제조)

2. 맥아를 갈아 엿기름을 만들고(엿기름 제조)

3. 엿기름을 물과 섞어 맥아즙을 만들고(맥아즙 제조)

4. 맥아즙을 발효시켜 알코올을 품게 만들고(워시 제조)

5. 워시를 끓여 알코올 도수를 높이고(스피릿 제조)

6. 오크통에 숙성시켜 위스키를 만든다.

아래의 표를 통해 간단하게 위스키 제조 과정을 볼 수 있다.

위스키는 몰팅, 매싱, 발효, 증류,숙성,병입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본 그림은 ‘Great Drams’의 ‘Greg’의 글을 번역한 것.

1. 몰팅(Malting)

몰팅이란 보리(Barley)를 발아(Germination)시켜 맥아(Malt)를 만드는 과정이다.

보리를 물에 담궈 충분한 수분을 머금게 한 뒤, 몰팅 플루어(Malting Floor)에 고르게 펴준다. 하루 정도가 지나면 보리에서 싹이 나기 시작하며, 이를 발아라고 부른다. 최종적으로 7~10일간 발아 과정이 이어지며, 이 때 골고루 발아가 될 수 있도록 보리를 주기적으로 뒤집어 주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보리 내의 전분이 당분으로 변하여, 이후 발효를 위한 조건이 갖추어진다. 발아한 보리를 그린몰트(Green Malt)라고 부른다.

보리가 적당히 발아하면, 이를 멈추기 위해 수분을 제거해 주는 ‘건조’ 작업이 이루어진다. 건조는 가마(Kiln)에서 이루어진다. 가마의 상층부에는 건조실이 있고, 이 안에 있는 작은 구멍이 뚫린 건조대에 그린몰트를 올려 준다. 가마의 아랫부분(1층)에서 탄을 때어 열기와 연기로 건조실에 있는 그린몰트를 건조한다. 이때 ‘탄’은 일반적으로 ‘석탄’ 혹은 ‘이탄(Peat)’을 사용한다.

이탄(Peat)이란, 식물 혹은 유기체가 불완전 부패하여 생긴 석탄의 일종으로, 여기서의 식물/유기체는 보통 죽은 나무, 관목, 이끼 등이다. 완전한 석탄이 되지 못한 존재다. 이탄을 태운 연기로 건조하면 맥아에 스모키한 향이 배어드는데, 이런 맥아를 사용해 만든 위스키를 ‘스모키하다’, ‘피트향이 난다’ 라고 표현한다.

충분히 건조된 맥아는 다음 단계인 ‘Mashing’ 과정으로 넘어간다

2. 매싱(Mashing)

매싱이란 건조한 맥아를 분쇄(Milling)한 뒤 뜨거운 물에 용해시켜 맥아즙(Wort)을 만드는 과정이다.

건조가 완료된 맥아의 뿌리를 제거한 뒤 분쇄기(Millin Machine)에 넣는다. 분쇄기에서 잘게 부서진 가루를 엿기름(Grist)이라고 한다(분명한 ‘가루’이지만 ‘엿기름’이라 부른다). 이 엿기름을 당화조(Mash Tun)라 부르는 커다란 통에 넣는다(과거의 당화조는 나무였으나, 현대에서는 금속 통을 사용한다). 당화조에 뜨거운 물을 섞고 엿기름과 잘 섞어주면, 엿기름 내의 전분이 당분으로 변하게 된다. 충분히 용해되고 당화하면 ‘맥아즙(Wort)’이 완성된다. 이 맥아즙은 언더백(Underback)이라 불리는 통에 저장되었다가, 20도 정도로 냉각되어 다음 단계인 ‘발효’ 과정으로 보내진다.

3. 발효(Fermentation)

발효는 맥아즙(Wort)에 효모(Yeast)를 섞어, 알코올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효모라는 균은 당분을 먹고 이산화탄소와 알코올을 내뱉는 균이다. 그래서 당분을 충분히 머금고 있는 맥아즙과 효모를 한데 섞으면 알코올이 생긴다. 이 과정이 ‘발효’ 과정이다.

발효를 위해 언더백(Underback)에 저장되어 있는 맥아즙을 식힌 후 워시백(Washback)이라 부르는 커다란 통에 넣고, 여기에 효모를 첨가한다. 워시백에서는 효모에 의해 발효가 일어나고, 약 2~4일이 지나면 발효는 완료된다. 발효가 완료된 액체를 워시(Wash)라 부르며, 워시는 통상 5~9%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다. 이 때 만들어지는 워시의 도수에 따라 위스키의 풍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4. 증류(Distillation)

증류 과정은 워시(Wash)를 끓여 높은 도수의 알코올을 함유한 액체(Spirit)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증류란 여러 성분이 혼합된 액체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물의 끓는 점은 100℃, 알코올(에탄올)의 끓는점은 78.37℃다. 따라서 수분과 알코올이 뒤섞여 있는 워시(Wash)를 끓이면 알코올이 먼저 증발하게 되고, 이를 추출하여 높은 도수의 알코올을 얻는 작업이 바로 위스키에서의 ‘증류(Distillation)’다.

증류소마다 방식은 조금씩 상이하나, 증류는 통상 2회 이상 이루어진다. 1차 증류를 위해 워시(Wash)를 워시 스틸(Wash Still)에 넣고 끓인다. 이 과정에서 완성한 증류액은 통상 20%의 알코올을 함유하는데, 이를 ‘로우 와인(Low Wine)’이라 부른다. 로우와인의 양은 일반적으로 워시의 30%정도 수준이다.

로우 와인은 2차 증류를 위해 스피릿 스틸(Spirit Still)로 들어간다. 스피릿 스틸에서의 2차 증류는 높은 도수의 알코올 얻는 것 이외에 해로운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로우 와인을 증류하여 가장 먼저 나온 액체를 초류(Foreshot), 다음을 중류(Heart), 마지막에 나온 성분을 후류(Feint)라고 한다. 위스키에 사용되는 것은 바로 ‘중류’다. 증류의 최종 결과물로 얻은 액체를 스피릿(Spirit)이라고 하며, 60%정도의 알코올을 함유한다.

5. 숙성(Aging)

숙성(Aging)이란 말그대로 스피릿(Spirit)을 오크통에 넣고 나이가 들 때까지 기다리는 과정이다.

오크통에서 숙성되지 않은 스피릿은 위스키라 부르지 않는다. 위스키가 되기 위해서 스피릿(Spirit)은 최소 3년간 오크통 안에서 숙성되어야 한다. 흔히 말하는 맥캘란 12년, 보모어 15년에 붙는 ‘년수’가 바로 오크통에서 숙성된 기간을 의미한다.

오크통에서 숙성되는 스피릿은 오크통과 상호작용하여 위스키 특유의 향과 풍미를 갖는다. 오랜시간 숙성 할 수록 그 향은 깊어지며, 짧은 숙성 기간을 거친 위스키들이 흉내낼 수 없는 아우라가 생긴다. 모든 위스키가 오래오래 숙성되어 뛰어난 맛을 내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위스키 제조사들이 30년, 40년을 내다보고 투자를 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결정이겠지만, 무엇보다도 천사의 몫(Angel’s Share) 때문이다.

오크통에서 숙성되는 위스키는 매년 2~3%가 증발하여 사라진다. 이를 천사의 몫이라 부른다. 따라서 숙성연차가 길어질 수록 오크통 안의 위스키는 줄어들고, 생산량은 적어질 수 밖에 없다. 때문에 현실적으로 모든 위스키를 오래 숙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오래 숙성한 위스키들의 가격은 높을 수 밖에 없다.

참고로 위스키의 숙성년도를 부르는 말은 ‘년산’이 아닌 ‘년’이다. 발렌타인 21’년’, 아드벡 10’년’이다. 발렌타인 21’년산’이 아니다. ‘년산’은 주로 와인에 붙이는 것으로, 해당 와인의 빈티지(Vintage)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한 병에 6억이 넘는 가격에 팔린 로마네콩티 1945는, 1945’년산’이다. 1945년에 수확한 포도로 만들어진 와인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위스키에 붙는 숫자는 몇 년 숙성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이기 때문에 유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6. 병입(Bottling)

오크통에서 숙성한 위스키를 병에 담아 상품화 하는 과정이다. 병입시에는 오크통에서 추출한 위스키 원액과 연수(Soft Water)를 섞어 알코올 함량과 향을 조절하며, 통상적으로 40~45%정도로 병입한다. 다만 가끔씩 원액 그대로를 병입하며 판매하는 Cask Strength라는 제품도 있으며, 보통 50%에서 60%정도의 알코올을 함유한 위스키다.

위스키 제조 과정을 공부하다보니, 제조에 얽힌 재밌는 이야기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기회가 된다면 이러한 이야기들도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다.

위스키 주요 원료와 제조 과정

위스키 주요 원료

1. 곡물

‘곡물 구입’과 보리를 맥아로 만드는 몰팅(Malting)은 위스키 제조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다는 과정이다. 싱글몰트 위스키의 경우 보리의 선택이 모든 것의 기본이 된다. 지금도 보리를 직접 선택하는 증류소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맥아제조소에 보리 선택을 맡긴다. 맥아제조소는 매년 동일한 품질의 맥아를 생산하기 위해 정확한 지침에 따라 보리를 맥아로 만든다.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된 보리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영국이나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수입한 보리를 사용한다.

2. 물

‘물은 위스키의 가장 좋은 친구이다.’ 스코틀랜드 사람들은 깨끗한 물이 좋은 위스키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물이 위스키의 아로마에 미치는 영향을 5% 정도라고 추정하기는 하지만 앞에서 말한 것처럼 그것을 측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위스키 제조 과정에서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3. 효모

효모는 증류소마다 전해 내려오는 비밀 묘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 비밀은 대외비이다. 쉽게 말해 효모는 곰팡이이다. 제조방법은 증류소마다 다르며 1종류의 효모를 사용하는 곳도 있고 7종류까지 사용하는 곳도 있다. 위스키에 곰팡이를 넣는다고 걱정할 수도 있지만, 발효과정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증류소의 노하우를 보여주는 과일향만 남는다.

4. 피트

피트는 산성으로 물이끼, 해더, 사초등의 습지식물들이 퇴비화한 것이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피트가 생산되고 있으며, 피트의 형성을 위해서는 높은 강수량, 서늘한 기후, 배수와 통풍이 잘되지 않는 환경 등이 갖춰줘야 한다. 피트는 석탄이 없어서 고민하던 증류업자들이 증류소 주변에서 우연히 발견한 대체 연료였다. 그러나 피트의 연기로 맥아를 건조한 결과 스모키함과 강렬한 풍미가 생기면서 몰트위스키에 결정적인 역할은 하는 주요 원료로 자리매김했다.

위스키 제조 과정

1. 준비과정(Prepartation) = 몰팅(Malting)

수확한 보리를 맥아로 만드는 작업은 위스키 제조의 첫 단계이다. 중요한 작업이지만 현재 직접 몰팅을 하는 증류소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맥아 제조소에 맡긴다. 보리를 몰팅하는 이유는 보리를 몰에 담가서 말릴 때까지 4단계를 거쳐 전분을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맥아를 말릴 때 이탄의 사용여부를 결정한다.

2. 매싱(Mashing)

매싱 단계에서는 맥아를 갈아서 ‘그리스트(Grist)’ 즉 가루상태로 만든 뒤, 메시턴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통에 넣고 뜨거운 물을 섞는다. 물에 의해 당분이 추출되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할 워트(Wort, 맥아즙)가 만들어진다.

3. 발효(Fermentaion)

당분을 함유한 위트에 효모를 넣고 위시백이라고 부르는 발표조에서 쓿인다. 효모가 당분을 먹으면 알코올이 만들어지고, 이산화탄소도 발생한다. 발효는 48 ~ 72시간 동안 계속되며, 발표가 끝나면 워시라는 시큼한 맥주가 만들어진다.

4. 증류(Distillation)

이 단계부터 도수 높은 알코올을 얻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 워시를 증류기에 넣고 끓여서 알코올이 증발하여 기체가 되면, 즉시 냉각시켜 다시 액체로 만든다. 이 과정을 2번 ~ 3번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증류액을 만든다.

5. 오크통에 담기

증류액을 오크통에 담기 전에 물을 섞어 알코올 도수를 64% 정도로 조절한다. 64%는 숙성을 시작하기 알맞은 도수이다.

선택한 오크통의 상태는 위스키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6. 숙성(Asing)

숙성 단계에서는 마법이 일어난다. 오크통에 담아 저장고에 넣어둔 증류액이 조금씩 위스키로 변해간다. 숙성기간, 기후조건, 저장고의 지리적인 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방정식에 의해 위스키의 최종 풍미가 달라진다. 스카치 위스키의 경우 위스키라는 이름을 얻기 위해서는 3년 이상 숙성시켜야 한다.

7. 병입(Bottiling)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숙성된 와인은 병입하기 전에 물을 첨가해서 알코올 도수를 40 ~ 46%로 낮춘다. 이 작업을 하기 전에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먼저 여과를 하는데, 보통 냉각여과를 한다. 이 경우 아로마의 일부를 잃는다는 단점이 있다. 병입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므로 대부분 전문업체에 의뢰하며, 스코틀랜드의 글렌피딕이나 브룩라디처럼 증류소에서 직접 병입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참고문헌 : <위스키는 어렵지 않아> P22~25

위스키란 무엇인가요? (2편, 제조 과정)

반응형

안녕하세요, ㅇㅇㅇ입니다.

위스키 제조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주기능사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항목입니다.)

발렌타인 30년 (출처: 페르노리카코리아)

ㅁ 위스키 제조 과정

맥아(Malting) – 당화(Mashing) – 발효(Fermenting) – 증류(Distilling) – 숙성(Aging) – 병입(Bottling)

1. 맥아(Malting)

– 보리에 싹을 틔워 맥아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 보리가 발아되는 과정에 아밀라아제가 발생하며, 이 아밀라아제를 기초로 당화가 이루어집니다.

– 물에 2~3일 담근 후, 그늘진 곳 두면 발아가 시작됩니다.

– 적당하게 발아된 맥아를 높은 온도에서 건조시키면, 발아가 멈춥니다.

– 건조시킬 때 이탄(PEAT)을 사용하는데, 이 이탄이 위스키의 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당화(Mashing)

– 분쇄된 맥아(GRIST)를 뜨거운 물에 담가 당화를 시키는 과정입니다.

– 물에 담근 상태를 담금액(MASH)라고 합니다.

– 당화 과정이 끝난 상태를 맥아즙(WORT)이라고 합니다.

3. 발효(Fermenting)

– 맥아즙(WORT)을 걸러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킵니다.

– 발효가 끝나면 발효액(WASH)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증류(Distilling)

– 발효액(WASH)를 증류합니다.

– 단식 증류기와 연속식 증류기 두 가지가 있습니다.

[단식 증류기]

– 전통적인 방식

– 주로 몰트 위스키 제조에 사용됩니다.

– 고비용-소량생산

– 스카치 위스키는 단식 증류기로 2번 증류합니다.

– 아이리시 위스키는 단식 증류기로 3번 증류합니다.

– 1차 증류기(워시 스틸) → 1차 증류액(LOW WINE(20-25%))

– 2차 증류기(스피릿 스틸) → 2차 증류액(SPIRIT(60-80%))

– 2차 증류액은 3종류(초류/중류/후류)로 구분(CUT)해야 합니다.

– 컷(CUT)은 몸에 안좋은 성분을 거르고, 맛에 영향을 주는 작업입니다. (전문가)

[연속식 증류기]

– 1830년 개량된 방식

– 주로 그레인 위스키 제조에 사용됩니다.

– 저비용-대량생산으로 효율적입니다.

5. 숙성(Aging)

– 오크(OAK)통(CASK)에서 숙성시키는 과정입니다.

– 위스키의 향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 스카치 위스키: 쉐리 와인을 숙성했던 오크통 등을 사용합니다.

– 버번 위스키: 새 오크통을 사용합니다.

[CASK 용어]

Single malt: 한 증류소에서 만들어진 몰트 위스키로만 병입하여 출시

Single cask(Single barrell): 한 오크통 안에 있는 위스키만 병입하여 출시

Cask strength: 캐스크에 있는 위스키를 바로 병입하여 출시

6. 병입(Bottling)

– 마지막으로, 병에 넣는 과정입니다.

시바스리갈 25년 (출처: 페르노리카코리아)

이상으로 위스키의 제조과정 6단계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ㅇㅇㅇ

반응형

스카치 위스키의 제조 – 베버리지뉴스 – Beverage News – LIQUOR – 위스키와 증류주

위스키 제조공정

• 원료 : 원료 보리는 주로 골든 프로미즈(Golden promise)종과 옵틱(Optic)종이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호밀, 밀, 귀리 등이 쓰인다.

– 맥아 : 보리 싹을 낸 것을 말한다(엿기름).

– 곡물 : 발아하지 않은 곡류, 즉 옥수수, 보리, 밀, 귀리 등을 말한다.

• 정선 : 보리를 정선기에 넣어 마른 알갱이, 불량한 보리를 완전히 제거한다.

• 침맥 : 보리를 깨끗이 씻고 속이 빈 보리를 제거하기 위함과 동시에 물을 주어 발아준비를 하기 위해 행한다. 약 2일 동안 침수한다.

• 발아 : 침맥한 보리를 발아실로 보내 1주일 정도 발아시킨다. 항상 온도나 습도가 발아에 적당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 건조 : 발아한 보리는 건조상에서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1주일씩 교반되면서 피트의 열로써 건조시킨다. 옛날에는 일광에 의해 자연 건조시켰지만, 스코틀랜드에서 밀주시대에 발견된 피트의 사용이 위스키의 스모키한 향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스카치 위스키 제조에 있어서 지금은 피트가 맥아 건조를 위하여 필요 불가결한 것으로 인식되어 중요한 공정의 하나로 되어 있다.

• 제근과 분쇄 : 건조한 맥아의 뿌리는 불필요하므로 제거하고 당화하기 쉽게 분말로 한다. 몰트 위스키의 경우는 발아한 맥아만을 분쇄시키지만 그레인 위스키의 경우는 발아하지 않은 보리, 호밀, 밀 등의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 당화와 냉각 : 분쇄된 맥아에 더운 양조수를 가하여 당화조에 넣는다. 이때 점분은 맥아 속의 당화효소인 아밀라아제(Amylase)에 의해 맥아당으로 변하고 당화액이 생기는 것이다. 당화액은 효모의 번식에 적당한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 발효 : 냉각된 당화액은 발효조로 보내 위스키용의 순수 효모를 가해서 발효시킨다. 여기서 당분은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분리되는데 발

효는 보통 3일 만에 끝난다. 여기서 알코올성분 약 8% 정도의 보리 발효주가 생기는 것이다.

• 증류 : 발효가 끝난 보리 발효주는 단식 증류기로 두 번 증류한다. 두 번째 증류에서 나온 액체 중 최초에 나온 부분과 최후에 나온 액체를

제외한 가운데 부분만을 위스키의 원주로서 오크통(Oak Barrel)에 넣는다. 제외된 최초, 최후의 액체는 다시 두 번째 증류기에 다시 붓고 재증류를 한다.

• 숙성 : 2차 증류를 마친 위스키 원주는 알코올성분 60~70%로 수정과 같이 맑고 무색 투명한 액체이다. 이 원주는 술통에 갇혀 저장되고 저장고에서 오랫동안 숙성을 거치게 된다. 저장용 통으로는 떡갈나무, 참나무(White Oak) 등이 사용된다. 숙성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해 한번 셰리 와인을 담았던 통을 사용하기도 한다. 최저 저장기간은 나라에 따라 다르며, 영국과 캐나다는 3년, 미국은 2년으로 법령에 따라 강

제 숙성기간을 설정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20~30년 동안 저장하기도 한다. 오래 숙성시킨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고 성질에 따라 일정기간이 지나면 오히려 퇴화하는 것도 있다.

• 혼합(Blend) : 같은 조건으로 증류 · 저장된 위스키라도 연수가 경과함에 따라 한 통, 한 통 모두 미묘하게 다른 맛과 향기를 갖게 된다. 이것을 테스트하고 각각의 특성을 살려 이상적으로 조합하여 균일한 품질로 만들기 위해 섞는데 이것을 ‘혼합’이라 한다. 이 혼합과정이 위스키 제조공정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이며, 감각적인 기술이 필요하고 풍부한 경험과 날카로운 감각의 코와 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할 수가 없다. 이러한 것을 전문으로 하는 직업을 위스키에서는 마스터 블렌더(Master Blender), 와인에서는 쎌러 마스터(Celler Master)라 부르며, 이들은 최고의 전문직업으로 각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부심 또한 대단하다.

• 후숙 및 병입 : 혼합이 끝난 위스키는 다시 술통에 넣고 수년간 후숙시킨 뒤 병에 넣어 시판된다.

** 피트(Peat) : 헤더(Heather)라는 관목이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탄화된 토탄의 일종으로 주로 스코틀랜드 지방의 땅에 자연적으로 널려 있다. 이것을 이탄이라 한다. 스코틀랜드 북부의 아일레이 섬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는 이탄의 향이 가장 강하고 자극적인 위스키로 유명하다.

[위스키] 오크통에서 숙성되는 호박색 생명수 – 위스키 제조 방법

728×90

위스키는 보리(Barley), 밀(Wheat), 호밀(Rye), 옥수수(Corn) 등의 곡물이 원료입니다. 보리를 주재료로 만드는 몰트 위스키(Malt Whisky)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대맥(大麥)을 싹 틔운 몰트에 스코틀랜드 지방에서 캐낸 이탄(泥炭)으로 훈향(薰香)하면서 말립니다. 훈향한 몰트를 당화(糖化)한 후에 효모를 넣고 발효해서 맥주와 비슷한 발효액을 만듭니다. 위스키 양조 과정 중에서 증류 단계 전까지는 맥주를 만드는 과정과 거의 비슷합니다. 다만 발효할 때 단백질을 제거하고 쌉쌀한 풍미를 내주는 홉(hop)를 넣지 않는 점이 다르죠.

2. 발효액을 단식증류기로 2회 증류하는데, 첫 번째 증류 과정을 거친 증류액을 로우 와인(Low Wine)이라 하고 두 번째 증류 과정을 거치면 비로소 스피릿(Spirit)이 됩니다. 스피릿은 독주(毒酒, 高度酒)를 말하며 특정한 종류의 술을 뜻하는 건 아닙니다. 증류기에서 빠져나온 증류액은 몰트를 이탄으로 훈향했기 때문에 매캐한 연기 냄새가 납니다. 그래서 연기 냄새를 줄어들게 하고 맛을 향상하기 위해 오크통 속에 넣어서 최소 3년에서 12년까지 숙성합니다. 물론 그 이상 숙성하기도 하지만, 몰트위스키는 대개 8년에서 12년 사이에 최고의 맛과 향과 힘의 균형(Balance)이 나오기 때문에 보통 12년 정도 숙성한 제품이 많습니다. 법적으로는 최소 3년만 숙성하면 됩니다.

(이 정도만 숙성해도 위스키의 제맛을 느끼기엔 충분하다는 거죠)

3. 위스키를 숙성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은은한 멜론색에서 점차 짙은 갈색으로 변합니다. 만약에 색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으면 더 좋은 색을 내기 위해 캐러멜을 탈 수도 있습니다. 이건 법적으로 허용된 거죠. 이렇게 숙성이 끝났을 때, 보리가 아닌 다른 곡물로 만든 것과 혼합하는 스카치위스키가 있고, 순수한 스코틀랜드 보리로만 만드는 스카치위스키가 있습니다. 전자를 블렌디드 위스키(Blended Whisky), 후자를 퓨어 몰트 스카치위스키(Pure Malt Scotch Whisky)라고 합니다. 퓨어 몰트 스카치 중에서 한 곳의 증류소에서만 나온 증류액만 사용해서 만든 것을 싱글 몰트 위스키(Single Malt Scotch Whisky)라고 하죠. 이후 많은 블렌더들의 검사 과정을 거친 후에 병에 넣습니다.

(블렌디드 위스키와 싱글 몰트 위스키. 레이블 표기를 참조하세요)

4. 영국에서 생산하는 다른 위스키로 아일랜드에서 나오는 아이리쉬 위스키(Irish Whisky)가 있습니다. 아이리쉬 위스키는 몰트와 기타 잡곡을 주원료로 만들며 아일랜드산 감자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몰트를 쓸 땐 발효에서 증류까지는 스카치위스키와 거의 같지만, 피트로 훈연하지 않는 점이 다릅니다. 감자는 발효할 때 뿜어내는 고약한 냄새 때문에 쇠통에 넣어서 감자 썩는 냄새를 뺀 다음 오크통에 옮겨 저장합니다.

5. 위스키는 40~43% 정도의 순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어서 우리나라 사람이 마시기엔 좀 독합니다. 서양 사람과 달리 알코올 분해량이 1시간에 청주 한 컵 정도인 한국인의 평균 체질에는 별로 맞지 않죠. 의학적으로는요. ^^

반응형

스카치위스키 제조과정 (feat. 증류)

스카치위스키 제조과정 (feat. 증류)

안녕하세요~ 설쥐아빠예요~

이번 시간에도 저번 시간에 이어서 위스키 제조과정에 대한 포스팅이에요.

저번 시간에 위스키 제조과정이

맥아 제조 과정 → 당화 과정 → 발효 과정 → 증류 과정 → 숙성과정 → 병입 과정

이렇게 6개의 과정으로 되어 있다고 배운 거 기억 나시죠~?

이번에는 위스키 제조과정 중 네 번째 과정인 증류 과정에 대해 얘기해 보려 해요.

이전 제조 과정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2021/02/26 – [위스키 이야기/위스키 정보] – 스카치 위스키 제조과정 (feat. 맥아 제조, 당화, 발효)

증류(Distillation)

실제 증류기의 모습

증류 과정은 위스키의 특징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과정이에요. 그래서 증류소에서 사용하는 증류기의 형상, 증류하는 세부 방법들은 조금씩 차이가 난답니다.

그럼 일반적인 증류의 원리부터 알아보도록 해볼까요?

증류는 물질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증류기 안에 알코올, 물이 들어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알코올의 끓는점은 78℃이고 물의 끓는점은 100℃에요. 그럼 이상태에서 증류기를 가열했을 때, 증류기의 온도가 78℃가되면 알코올이 먼저 끓기 시작하겠죠? 그럼 78℃에서는 소량의 불순물도 당연히 있긴 하겠지만 대부분 알코올이 증류기의 관을 타고 밖으로 빠져나올 거예요.그다음 알코올이 다 증발하고 나면 온도가 78℃를 벗어나 100℃가 되었을 때 물이 끓기 시작하겠죠? 그때 물이 증류기의 관을 타고 본격적으로 수증기가 되어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랍니다. 물질의 이런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물질만을 얻는 방법이 증류라는 기술이랍니다.

증류가 어떤 건지 설명했으니 이번에는 위스키를 만들 때 어떻게 증류하는지에 대해 얘기해 볼게요.

위스키는 일반적으로 두 번의 증류를 통해 얻어져요. 어떤 증류소는 세 번의 증류를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증류소에서는 두 번의 증류를 실시한답니다.

1차 증류에서는 발효 과정에서 나온 알코올 도수 5~8 º 정도 되는 발효액을 증류기에 넣고 증류를 한답니다. 증류기의 온도를 올리다 보면 약 78℃가 도달할 때부터 본격적인 증류가 시작돼요. 이렇게 1차 증류를 거친 후에 나온 액체의 도수는 17~25 º가 된답니다. 아직 위스키로 사용하기엔 너무 도수가 낮죠. 이 액체를 모아서 2차 증류를 실시해요.

2차 증류가 위스키 증류소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작업이랍니다. 2차 증류에서 나오는 모든 액체를 위스키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2차 증류를 시작할 때 나오는 초류액(Fore Shots)와 2차 증류가 끝날 때쯤 나오는 후류액(After Shots)에는 증류소에서 원하지 않는 성분들이 포함이 되어있기 때문에, 증류소에서는 2차 증류할 때 나오는 증류액의 중간 부분(Middle Cut)만 사용해요. 이 중간 부분의 알코올 도수는 약 70~75 º정도가 된답니다.

증류소에서는 이 Middle cut이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각 증류소마다 어느 시점에 Cut을 해서 후류액으로 취급할지는 내부적으로 잘 관리한다고 해요. 초류액과 후류액을 좀 더 살펴보면 초류액은 알코올이 끓기전에 나온 휘발성성분들이 많이 포함이 되어있기 때문에 그 휘발성향을 좋아할 사람이 아무도 없겠죠~? 그래서 그부분을 사용하지 않는것이고 후류액에는 알코올이 절반도 함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답니다. 그래서 후류액도 사용하지 않는거애요. 그렇다고 초류액과 후류액을 버리는 것은 아니고 잘 모아놨다가 1차 증류가 끝난 액체와 섞어서 다시 2차 증류를 하는 식으로 재활용을 한답니다. 최종적으로 증류기에 남은 액체의 알코올 도수가 0.1이 될 때까지 계속 반복해서 증류를 한다고 보시면 돼요.

여기까지가 증류를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었구요.

증류기의 형상과 증류기에서 나온 알코올을 냉각시키는 방법이 위스키의 맛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얘기해 보려 해요.

증류기의 형상과 알코올 증기를 냉각시켜서 응축시키는 응축기는 위스키의 맛에 많은 영향을 끼친답니다. 그래서 증류소마다 가지고 있는 증류기, 응축기가 다 달라요.

화살표 부분이 증류기의 목부분

증류기는 구리로 만들어지는데 발효액을 증류하는 과정에서 구리와 발효액에서 나온 증기가 반응을 한답니다. 구리와 반응하는 성분은 황성분이기 때문에 증류하는 과정에서 구리와 반응을 많이 시키면 시킬수록 황 성분을 줄어들게 할 수 있어요. 구리와 덜 접촉해서 황 성분이 많으면 고기 향, 채소향, 유황 냄새가 강하고 바디감이 무거운 위스키가 생산되고 구리와 많이 접촉해서 황성분이 적을수록 과일향이 나고 바디감이 가벼운 위스키가 만들어진답니다.

위스키의 어떤 향을 추구하는지는 증류소에서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증류소에서 무겁고 바디감 있는 위스키를 추구하면 구리와 덜 접촉하는 방식으로 증류를 하고 과일향이나 풀향 그리고 바디감이 가벼운 위스키를 추구하면 구리와 최대한 많이 접촉하도록 증류를 하게 되는 것이에요.

증류할 때 나오는 증기와 증류액이 최대한 구리에 많이 닿게 하려면 사진에 보이는 증류기의 목 부분을 길게 만들 수도 있고 더 둥글게 만드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겠죠?

마지막으로 응축기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볼게요.

응축기에는 전통적으로 써왔던 나선형 응축기와 현대식 응축기인 튜브 방식의 응축기가 있는데 현대식 응축기가 나선형 방식보다 증류액을 구리와 더 접촉을 많이 시킨답니다. 또 나선형 방식은 증류기에서 나온 증기를 냉각시키는데 현대식 응축기보다 물을 많이 사용한다고 해요. 물을 많이 사용하면 아무래도 원가가 올라가겠죠~?

위스키의 맛 관점에서 보면 현대식 응축기를 사용하면 좀 더 가볍고 과일향이 나는 위스키를 만들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것을 예상해 볼 수 있답니다. 하지만 증류기의 모양과 후류액을 어디서 Cut 하느냐에 따라서도 맛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꼭 그렇지는 않겠죠?

어떠셨나요~? 위스키의 증류 과정에 대해서 좀 이해 좀 되셨나요~?

이번 포스팅은 전문적인 내용도 많이 있어서 힘들지는 않으셨는지 걱정이 살짝 되긴 한답니다.

다음 포스팅은 위스키 제조 과정의 마지막 두 과정인 숙성과 병입 편을 끝으로 위스키 제조 과정은 마칠 예정이랍니다~😀

그럼 설쥐아빠의 위스키 이야기 – 증류 편 마무리할게요~! 모두 다음 포스팅에서 뵐게요~빠이빠이~!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위스키 제조 과정

다음은 Bing에서 위스키 제조 과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 위스키
  • 위스키만들기
  • 증류주
  • 양조주
  • 지식채널e
  • 싱글몰트위스키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YouTube에서 위스키 제조 과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양주(위스키) 원료의 정체 / 위스키 왜이렇게 비싼걸까? (feat.맥주) | 위스키 제조 과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생리 주기 23일 | 벌써 생리가 끝? 폐경은 신호가 있다 229 개의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