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삼위 일체 하나님 – [김진혁 교수의 신학이야기 4강] 삼위일체 하나님! 아는데 설명할 방법이 없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charoenmotorcycles.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haroenmotorcycles.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CBSJOY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8,352회 및 좋아요 64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기독교에서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은 삼위(3 Persons, 세 위격, 세 신격, 세 분, 三位)로 존재하지만, 본질(essence)은 한 분 하느님이라는 교리이다.
삼위 일체 하나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김진혁 교수의 신학이야기 4강] 삼위일체 하나님! 아는데 설명할 방법이 없네…. – 삼위 일체 하나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많은 크리스천들이 알지만 확실하게 설명은 못하는 바로 그것!
삼위일체 하나님, 삼위일체는 신비다.
신앙을 바로 세우는 맛있는 신학이야기. 김진혁 교수의 신학 강의를 추천합니다 🙂
김진혁 교수:
연세대학교 신학학사 (BA)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 석사 (ThM)
하버드대학교 Divinity School 목회학 석사 (MDiv)
옥스퍼드대학교 신학부 철학 박사 학위 (DPhil)
삼위 일체 하나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삼위 일체를 설명할 수 있습니까?
그러므로 “삼위”이라는 말은 세 분을 가르키지만 “일체”라는 말은 하나의 몸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성경이 우리에게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드러내는 것인데 바로 …
Source: www.everykoreanstudent.com
Date Published: 4/13/2022
View: 9642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 Manna 24
기독교의 하나님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이십니다. 삼위일체란 유일하신 하나님(본질)이 3인격(위격)으로 존재하시고 사역하신다는 의미입니다.
Source: www.manna24.com
Date Published: 2/13/2022
View: 7978
[하나님 나라와 영성⑨]삼위일체 하나님과 하나님의 나라(현요한)
삼위일체 교리는 성경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신앙과 예배의 전통에서 나온 것입니다. 삼위일체라는 말은 세 위격(位 …
Source: cemk.org
Date Published: 7/9/2021
View: 1924
삼위일체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 목양칼럼
우리는 삼위일체라는 용어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셋으로 구별되지만 서로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상태”라는 의미로 이해한다. 성경을 찾아보면 실제로 …
Source: www.santaclarakumc.org
Date Published: 4/17/2021
View: 7733
[기독자료] 삼위일체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싶어요..
그 세 인격은 성부 하나님, 성자 예수님, 그리고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성경에서 이 세 인격은 순서나 사역에서 서로 구별되면서, 모두 신적인 칭호와 …
Source: kr.christianitydaily.com
Date Published: 11/16/2021
View: 5612
삼위일체에 관하여 성경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삼위일체는 설명은 고사하고, 어떤 인간도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불가능한 개념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보다 한없이 위대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을 완전히 이해할 …
Source: www.gotquestions.org
Date Published: 5/27/2021
View: 1996
성부 성자 성령- 성삼위일체에 대하여 – 패스티브
‘성삼위일체’는 기독교의 핵심교리다.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이 성부, 성자, 성령 세 위격을 가진 분이라고 믿는다. 그동안 많은 신학자 …
Source: pasteve.com
Date Published: 11/9/2021
View: 937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삼위 일체 하나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김진혁 교수의 신학이야기 4강] 삼위일체 하나님! 아는데 설명할 방법이 없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삼위 일체 하나님
- Author: CBSJOY
- Views: 조회수 48,352회
- Likes: 좋아요 644개
- Date Published: 2019. 7.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U9DFvE82q5o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위일체(三位一體, 고대 그리스어: Τριάδος 트리아도스[*] , 라틴어: Trinitas 트리니타스[*] )란 그리스도교에서 성경적으로 또한 신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교리이다. 하나님은 본질에서 한 분이시며 위격(位格, 고대 그리스어: ὑπόστασις 휘포스타시스[*] )에서는 세 분으로 존재하신다는 것이다.[1] 삼위일체에 대해서 동방교회는 본질에 한 분이신 하나님께서 세 위격으로 되는 신비를 지지했고, 서방교회는 세 위격으로 존재하는 하나님이 동일본질로 한 분 하나님이 되는 신비를 지지하며 신학적 관점의 차이를 보였다.[2]
기원 [ 편집 ]
삼위일체 방패(Scutum Fidei). 아버지(Pater)와 아들(Filius)과 성령(Spiritus Sanctus)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나(non est) 한 하느님(하나님)이다.
삼위일체에 대한 성경적 근거는 이미 구약성경에서 자주 나타났고, 신약성경에서는 여러 곳에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라는 문구가 증거되었다.[3] 그러나 신학적으로 정립이 되지는 않았다. 기독교회에서 삼위일체론의 초기 기원은 그리스도론(기독론)의 확장에서 시작되었다. 막 태동되었던 기독교에게 70년 유대 전쟁에서 다른 유파가 사라지고 유일하게 남은 바리사이파 유대교와 인성을 강조하는 에비온주의, 신성의 영적 요소만을 강조하는 영지주의의 등장으로 기독교 뿌리를 흔든 자극이 되었고, 육체를 가지신 제2 하나님이신 그리스도가 누구인지 논리적인 설명인 신학이론이 필요했다. 이 즈음에 형성된 신약성경을 바탕으로 그리스도론과 그 그리스도론의 존재 이유에 대한 설명인 삼위일체가 등장하였다. 삼위일체는 점차 발전하여 이 세상을 설명하는 세계관과 신학적 지침으로서 기독교에 중요한 교리가 되었다.[4]
기독교 [ 편집 ]
기독교에서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은 삼위(3 Persons, 세 위격, 세 신격, 세 분, 三位)로 존재하지만, 본질(essence)은 한 분 하느님이라는 교리이다.[5] 삼위일체라는 표현은 교회에서 구약이라고 부르고 있는 타나크는 다양한 방식으로 간접적인 삼위일체가 나타나며, 신약성경 2고린 13:13에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하느님의 사랑과 성령께서 이루어주시는 친교를 여러분 모두가 누리시기를 빕니다.”라는 표현에서 삼위일체가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다. 삼위일체라는 용어는 후대 교회에서 사용하였다. 또 신구파를 막론한 대다수의 기독교는 삼위에 대한 개념이 요한 복음서 등에서 간접적으로 암시함(아버지와 아들이 하나라는 표현이 자주 나옴)을 주장하며 옹호하고 있다. 삼위일체라는 말은 성서에 나오지 않는다. 기원후 200년경 라틴 신학자인 테르툴리아누스가 신을 설명하기 위해 트리니타스(trinitas)라는 말을 만들어낸 게 그 시초다. 그리스도교 찬송가는 주로 삼위일체를 세 행으로 꾸며 성부, 성자, 성령에 각각 한 행씩 배당한다. 구약성서에는 삼위일체의 ‘예고편’이 있다. 아브라함 족장을 방문한 ‘사람 셋’은 ‘주’라고도 지칭되는데, 그리스도교도들은 이것을 가리켜 삼위일체가 아브라함을 방문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성자가 예수라는 세속의 형태로 태어나기 훨씬 전이다. 동방정교회의 화가들은 아브라함과 이 ‘구약성서의 삼위일체’를 여러 차례 그림으로 표현했다.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는 다윗의 시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시편 110:1의 말씀을 번역본대로 비교한 것이다.
공동번역 야훼께서 내 주께 선언하셨다. “내 오른편에 앉아 있어라. 내가 네 원수들을 네 발판으로 삼을 때
개역한글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
개역개정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들로 네 발판이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오른쪽에 앉아 있으라 하셨도다
새번역 주님께서 내 주님께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의 원수들을 너의 발판이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오른쪽에 앉아 있어라” 하셨습니다.
다윗은 시편에서 야훼 하느님(성부)께서 다윗의 또 다른 주(主)님과 대화하는 모습을 서술하고 있다.
에배소서 1:20 하느님께서는 그 능력을 떨치시어 그리스도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려내시고 하늘 나라에 불러 올리셔서 당신의 오른편에 앉히시고 (공동번역)
사도행전 7:56 그래서 그는 “아, 하늘이 열려 있고 하느님 오른편에 사람의 아들이 서 계신 것이 보입니다.” 하고 외쳤다. (공동번역)
마태복음 14:62 예수께서는 “그렇다. 너희는 사람의 아들이 전능하신 분의 오른편에 앉아 있는 것과 하늘의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볼 것이다.” 하고 대답하셨다. (공동번역)
마태복음 12:36 다윗이 성령의 감화를 받아 스스로, ‘주 하느님께서 내 주님께 이르신 말씀, 내가 네 원수를 네 발 아래 굴복시킬 때까지 너는 내 오른편에 앉아 있어라.’ 하지 않았더냐? (공동번역)
로마서 8:34 누가 감히 그들을 단죄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스도 예수께서 단죄하시겠습니까? 아닙니다. 그분은 우리를 위해서 돌아가셨을 뿐만 아니라 다시 살아나셔서 하느님 오른편에 앉아 우리를 위하여 대신 간구해 주시는 분이십니다. (공동번역)
신약과 비교해 해석해 보았을 때 주(主)님은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결정적인 삼위일체 교리의 핵심 구절은 요한의 첫째 편지 5장 1-8절 말씀이다.
“예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믿는 사람은 누구나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아버지를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나 그 자녀를 사랑합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사랑하고 또 하느님의 계명을 지키면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느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이 곧 하느님을 사랑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하느님의 계명은 무거운 짐이 아닙니다. 하느님의 자녀는 누구나 다 세상을 이겨냅니다. 그리고 세상을 이기는 승리의 길은 곧 우리의 믿음입니다.
세상을 이기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예수께서 하느님의 아들이시라는 것을 믿는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하느님의 아들이 인간으로 오셔서 물로 세례를 받으시고 수난의 피를 흘리셨습니다. 그분이 바로 그리스도이신 예수이십니다. 그분은 물로 세례를 받으신 것뿐만 아니라 세례로 받으시고 수난의 피도 흘리셨습니다. 증언자가 셋 있습니다. 곧 성령과 물과 피인데 이 셋은 서로 일치합니다.”
요한은 요한1서에서 “하느님이 자신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를 보냈다는 것을 믿는 것”이 계명을 지키고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고, 또한 그것을 증거하는 분이 성령이라고 시사하고 있으며, 그 셋은 하나라고 명확히 함으로 삼위일체론을 뒷받침하는 구절을 기록해 놓았다.
기독교의 경전 중에서 요한의 복음서에서도 그리스도의 선재와 성령의 오심을 설명하여 삼위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 사상적 개념으로는 기독교 초기의 환경이었던 유대교, 다신론, 영지주의 등의 배경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아들로 보내졌고, 아들이 이 땅에 존재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부활한 후에도 함께하시는 주, 즉 기독교가 고백하는 주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요청되었다. 특히 영지주의의 유출설과 마르키온주의의 이원론은 그리스도론을 뒤흔드는 사건이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학적 개념이 필요했다.[6] 이 새로운 개념은 흔히 325년 니케아 공의회와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호모우시우스라는 예수와 성부가 동일 본질이라는 관념을 더욱 발전시키고 논리적으로 체계화 시켜 삼위일체로서 확정했다. 니케아 공의회 이전부터 교부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던 호모우시우스의 “동질적이고 하나의 실체로 된 아들과 아버지”라는 관념에 도전하여 삼위일체를 부인한 아리우스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 의하여 파문되었다.
공의회의 결정 이전에 1세기 사도 교부인 로마의 클레멘스의 삼위 언급 즉 “하느님의 사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사심, 성령으로”[7]라고 고백하는 문헌과 성육신 이전 예수 그리스도의 선재를 받아들이는 기록이 있다. 사도 교부인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도 이미 존재했던 세례의 문구와 요한복음서를 활용하여 삼위 개념을 언급했다.[8] 2세기를 맞으며 기독교 변증가들은 성부와 성자의 관계를 설명하는 틀을 신학적으로 마련하고자 애썼다. 로고스 개념을 활용하여 유스티아누스에서 타티아누스, 안디오키아의 테오필루스로 이어지며 발전하였다. 2세기의 신학자 이레니우스의 경세적 삼위일체론의 등장과 이후 초대 기독교 전승을 기록한 사도전승에서 이미 삼위일체 개념을 따라 서품되는 감독자의 기도문이 있으며[9], 그 후 3세기 신학자 히폴리투스와 테르툴리아누스의 삼위일체론을 바탕으로 4세기 공의회의 결정이 이루어졌다.
일부 종교 학자들은 4세기 즈음에 확정된 삼위일체설은 기독교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부인하고 있고, 또 이는 하느님의 본성에 대한 초기 기독교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으며[10], 기독교 선교 이전 플라톤이 주장하던 성 삼위일체의 개념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1] 다른 학자는 삼위일체라는 개념이 기독교의 삼위일체설은 고대 이집트, 힌두교를 비롯한 고대 신앙의 영향을 받아 혼입된 교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12][13][14][15]
현재는 대다수의 기독교 종파들이 삼위일체를 중심적인 교리로 이해하고 있다. 요한의 복음서 14장에서 설명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는 공생애를 통하여 자신이 곧 하느님이라는 사실과, 자신이 성부의 독생자로서 성부와 영원한 관계에 있다는 것과, 성령도 하느님으로서 하느님의 일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하느님은 ‘절대단독주체 (Absolute Singleness)’가 아니며 성부, 성자, 성령 삼위가 하나이며 이를 통하여 예수는 삼위일체의 그 자체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삼위일체가 모든 기독교 종파의 주요 교리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니케아 신경과 보편교회의 세계공의회 전통을 거부하는 회복주의 계열의 일부 교파에서는 비성경적 논리에 불과하다며 삼위일체설을 부인하기도 한다.
찬성 견해 [ 편집 ]
삼위일체 찬성 교파와 교단은 대부분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전통을 계승하고, 구약성경, 신약성경만을 경전으로 인정하고, 보편교회 시대의 신학적 기준을 사도적 지침이라 여기고 수용하는 교단들이다. 동방정교회와 천주교회, 개신교회 교단들인 루터교회, 개혁교회, 성공회교회, 침례교회, 장로교회, 감리교회,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등이다.
삼위일체의 요소는 성부, 성자, 성령인데 마태오 복음 11장 27절과 마르코 복음 10장 22절에서 예수는 ‘아버지’로부터 모든 것을 받았다고 하는 데서 비롯된다.
아버지께서는 모든 것을 저에게 맡겨주셨습니다. 아버지밖에는 아들을 아는 이가 없고 아들과 또 그가 아버지를 계시하려고 택한 사람들밖에는 아버지를 아는 이가 없습니다.” — 마태오의 복음서 11장 27절 (공동번역)
또한 28장 19절에서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고 가르쳤고, 요한 복음서 14장은 이를 더욱 구체화하여 서술하고 있다. 코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8장 6절에는 대구법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곧 창조주와 동일함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아버지가 되시는 하느님 한 분이 계실 뿐입니다. 그분은 만물을 창조하신 분이며 우리는 그분을 위해서 있습니다. 또 주님은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이 계실 뿐이고 그분을 통해서 만물이 존재하고 우리도 그분으로 말미암아 살아갑니다.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8장 6절 (공동번역)
반대 견해 [ 편집 ]
삼위일체 반대 교단들은 대부분 19세기 이후에 등장한 교파로, 현재 주류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전통을 배교라 여기고, 초대교회에서 보편교회 시기를 지나며 현재 교회가 배교로 단절되었으며, 삼위일체 역시 단절의 이론이므로 이를 거부하는 것이 단절을 잇는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니케아 신경과 보편교회의 세계공의회 교리를 거부하는 회복주의 성향들로 여호와의 증인,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 유니테리언 등이다.[16]
구약성경 신명기 6장 4절에서 나오는 “너, 이스라엘아 들어라. 우리의 하느님(하나님)은 야훼시다. 야훼 한 분뿐이시다.”라는 구절과 신약성경 마태오의 복음서 4장 10절에서 “사탄아, 물러가라! 성서에 ‘주님이신 너희 하느님(하나님)을 경배하고 그분만을 섬겨라.’ 하시지 않았느냐?”라는 구절 등 성서의 여러 면을 살펴보면 삼위일체와 관계되지 않는 듯한 내용도 담겨져 있다. 여호와의 증인이나 유니테리언, 그리스도아델피안 등의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종파는 이 점 또한 지적하며 만약 예수 그리스도가 삼위일체의 일부분이었다면 “오직 그분에게만”이라고 하지 않고 “우리에게”라고 말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신 가톨릭 백과사전'(New Catholic Encyclopedia, 1967년판) 제14권 299면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로마 가톨릭교회도 삼위일체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삼위일체 교의는 4세기 후반에 가서야 고안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어떤 면으로 볼 때 그것은 사실이다. (중략) ‘세 위 속의 한 하느님’이란 교리는 4세기 말 이전에는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으며, 온전히 그리스도인 생활과 신앙 고백의 일부가 되지 않았던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영문, 1970년판) 제6권 386면에는 보편교회에서 삼위일체 교리가 채택된 제1차 니케아 공의회 당시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니케아 공의회는 325년 5월 20일에 열렸다. 콘스탄티누스는 직접 회의를 주재하면서 토의를 적극적으로 주도하였으며, (중략) 공의회가 발의한 신경에 그리스도와 하느님의 관계를 ‘아버지와 하나의 실체’라고 표현한 결정적인 문구를 포함시킬 것을 직접 제안하였다. (중략) 주교들은 황제에게 위압감을 느껴 단지 두 명만 제외하고 신경에 서명하였는데, 그들 중 다수는 자신들의 견해와 매우 달리 행동한 것이다.”
이슬람교에서는 유일신 사상을 가지며, 이 삼위일체 교리에 대하여 혐오하는 반응이 그들의 경전 코란에 나와 있다.(수라 4:171, 5:73) 이러한 유일신 사상이 전투적이며 호전적인 이슬람을 나타내기 위한 기본적인 뼈대로 보기도 한다.[17]
다양한 해석 [ 편집 ]
삼신론: ‘세 인격의 세 하느님’이라는 이론이다.
양태론(modalism): 하느님이 시대에 따라 성부·성자·성령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한 인격의 한 하느님’이라는 이론이다. 간단히 말해서 구약의 시대에는 성부로, 신약의 시대에는 성자로, 신약 이후에는 성령으로 활동한다는 주장이 양태론적 이론의 일례이다.
종속론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온전히 하나인 주체이나, 성자와 성령은 성부에게 종속되어 있다는 이론이다.
양자론 : 양자론은 하느님이 예수를 양자로 삼았기 때문에,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이 되었다는 주장이다.
기독교 전통 [ 편집 ]
삼위일체가 포함된 신조 [ 편집 ]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삼위 일체를 설명할 수 있습니까?
삼위 일체를 설명할 수 있습니까?
질문: “삼위 일체란 무엇입니까?”
답변: “삼위일체”라는 말은 성경에는 나와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성경에 나온 하나님에 관해서 분명하게 설명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성경에서는 하나님을 지칭할 때 분명하게 아버지, 아들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님이라는 말로 표현하며 또한 하나님은 오직 한분이심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삼위”이라는 말은 세 분을 가르키지만 “일체”라는 말은 하나의 몸임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성경이 우리에게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드러내는 것인데 바로 하나님은 세 분, 즉 성부, 성자, 성령의 모습이 있지만 세 분 모두 같은 신의 성품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삼위일체를 H 2 O 에 비유해서 설명하기도 합니다. H 2 O는 물, 얼음, 수증기의 세가지 형태를 갖고 있으나 모두 H 2 O라고 부릅니다. 또 다른 설명은 바로 계란이 껍질, 노른자, 흰자로 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설명은 부분적이 면이 합쳐져서 하나가 되었다는 말이기 때문에 삼위일체를 설명하는 예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성자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나님이십니다. 성부는 또한 완전한 하나님이십니다. 성령도 완전한 하나님이십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십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우리의 제한된 경험을 가지고 삼위일체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처음 시작인 창세기 1:26의 내용을 에서 보면 “하나님이 가라사애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유축과 온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라고 써 있는데 하나님께서 그 분 자신을 지칭할 때, “우리”라는 대명사를 사용하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의 성경 구절은 하나님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이심을 보여줍니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신명기 6:4)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 다른이가 없나니 나 밖에 신이 없느니라.” (이사야 45:5)
하나님은 한 분 밖에 없는줄 아노라 (고린도전서 8:4)
예수꼐서 세례를 받으시고 곧 물에서 올라 오실새 하늘이 열리고 하나님의 성령이 비둘기 같이 내려 자기 위에 임하심을 보시더니 하늘로서 소리가 있어 말씀하시되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자라 하시니라.” (마태복음 3:16-17)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마태복음 28:19)
예수님이 말씀하시되: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 하신대.” (요한복음 10:30)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요한복음 14:9)
“나를 보는 자는 나를 보내신 이를 보는 것이니라.” (요한복음 12:45)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이 없으면 그리스도의 사람이 아니라.” (로마서 8:9)
“이 일을 생각할 때에 주의 사자가 현몽하여 가로되 다윗의 자손 요셉아 네 아내 마리아 데려오기를 무서워 말라 저에게 잉태된 자는 성령으로 된 것이라.” (마태복음 1:20)
“천사가 대답하여 가로되 [마리아에게]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시리니 이러므로 나실바 거룩한 자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으리라.” (누가복음 1:35)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으니 그가 또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주사 여원토록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시리니 저는 진리의 영이라 세상은 능히 저를 받지 못하나니 이는 저를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함이라 그러나 너희는 저를 아나니 저는 너희와 함께 거하심이요 또 너희 속에 계시겠음이라.”.. “사람이 나를 사랑하면 내 말을 기키리니 내 아버지꼐서 저를 사랑하실것이요 우리가 저에게 와서 거처를 저와 함께 하리라.” (요한복음 14:16-17, 23)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기독교의 하나님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이십니다. 삼위일체란 유일하신 하나님(본질)이 3인격(위격)으로 존재하시고 사역하신다는 의미입니다. 삼위일체는 기독교에 매우 중요한 교리이기 때문에 이 삼위일체를 부인하면 이단이 됩니다. 그럼에도 정통 기독교신자들도 삼위일체 하나님이라는 말은 자주 들어서 알고 있지만 실제 그것이 무슨 뜻인지 잘 모릅니다. 삼위일체라는 용어는 신학적으로 정립이 된 용어이지, 성경에 직접 나타난 용어는 아닙니다. 삼위일체는 성경을 통해서 우리에게 계시된 진리일 뿐입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을 가장 잘 계시하여준 성경 중에 하나가 바로 요한복음입니다. 사도요한은 유대인입니다. 그래서 그는 구약의 하나님을 잘 알고 있습니다. 유일하신 여호와 하나님을 잘 알고 있습니다. 바로 그가 예수님의 제자가 됩니다. 예수님의 사역과 말씀 가운데서 바로 예수님이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예수님이 승천하신 후에 보혜사 성령님, 그리스도의 영이 오셨는데 그분도 바로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요한에게는 유일하신 하나님이 3위격으로 존재하시고 사역하신다는 사실이 굉장한 충격이었을 것입니다.
기독교 역사를 보면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 논쟁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이 논쟁은 2위이신 예수님이 1위인 아버지 하나님과 동등하냐 아니면 아버지보다 작으냐의 논쟁입니다. 동등하다면 예수님은 100% 하나님이시고, 작다면 예수님은 100% 하나님이 아닌 것입니다. 아리우스파는 예수님은 아버지 보다 작은 분이고 종속되어있다고 믿었습니다. 지금의 여호와의 증인이 이것을 따르고 있습니다. 아타나시우스파는 예수님은 아버지와 100%동등하다고 믿었습니다. 이 논쟁에서 아타나시우스파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아리우스파는 요한복음14:28 “아버지는 나보다 크다”라는 말씀을 인용합니다. 결국 그리스도는 아버지에게 종속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삼위일체 하나님을 이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시도를 많이 합니다. 예컨대, 얼음이 녹으면 물이 되고, 물이 수증기가 되지 않습니까? 얼음, 물, 수증기는 같지 않습니까? 태양이 있고, 빛이 있고, 열이 있지 않습니까? 태양, 빛, 열은 결국 같은 것입니다. 이렇게 말하는 분들은 삼위일체 하나님도 이렇게 이해 할 수 있는 듯이 말합니다. 그러나 어떻게 셋이 하나가 되는가에 대한 이런 숫자 놀음은 우리 신앙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됩니다. 점 더 고상하게 말하는 사람은 이렇게 말합니다. 소위 삼신론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아버지, 예수님, 성령이 모두 하나님이기 때문에 결국 삼신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틀린 말입니다. 하나님은 유일하십니다. 하나님은 한분뿐이십니다. 또 이런 주장도 있습니다. 시대마다 다른 하나님의 경륜에 따라 하나님이 세 가지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며 역사한다고 합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구약시대에, 예수님이 신약시대에, 성령님은 교회시대에 존재하시면서 역사한다고 설명합니다. 이것을 경륜적 삼위일체론이라고 합니다. 이것도 이단입니다.
삼위일체를 어떻게 이성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까를 시도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익한 것은 아닙니다. 삼위일체 신론은 우리의 이성으로 이해가 불가능한 신비입니다. 삼위일체 신론은 우리에게 계시 된 만큼만 이해를 하셔야 합니다. 신비는 남겨두어야 합니다. 삼위일체 신론을 어떻게 이성으로 이해해야 할 것인가 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삼위일체 신론이 나타내는 진리가 무엇일까?를 알고, 그 진리에 감사와 감격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우리를 구원하실 수 있는 하나님은 인간이시면 안 됩니다. 초월자이셔야 합니다. 초월자이셔야 우리를 구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분이 우리의 구원자가 되시려면 초월자이시지만 우주와 역사 가운데 내주하셔야 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우리의 영혼 안에 내주 하셔야 합니다. 초월하시면서,인류의 역사 가운데 내주하시고, 인간의 영혼 안에 내주하시는 하나님은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존재하실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통해 우리를 사랑하셔서 구원하실 하나님은 삼위일체 하나님 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감격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런 하나님의 지혜에 감탄해야 합니다.
삼위일체 신론은 세 인격이 어떻게 한 하나님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를 우리의 이성을 통해 이해하라고 우리에게 주신 것이 아닙니다. 삼위일체 신론은 하나님이 우리의 구원자가 되시려면, 초월자이시지만 역사 가운데 내주하셔야 하고, 더 나아가서는 우리의 영혼 안에 내주 하셔야 함을 우리로 하여금 경험하도록 주신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해 이해 안 되면 그대로 두세요. 그 대신 하나만 명심하십시오. 우리를 구원할 구원자는 초월하시면서, 내재할 수 있는 신이어야 합니다. 그분이 바로 삼위일체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요 3:16).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John 3:16 NIV)
[하나님 나라와 영성⑨]삼위일체 하나님과 하나님의 나라(현요한)
삼위일체론은 무슨 철학적 사변에서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삼위일체론의 뿌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나신 하나님의 계시이며, 그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깊은 경험과 신앙과 예배입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은 그저 비인격적인 절대자나 우주의 원리가 아니라, 살아계신 하나님이요, 인격적인 하나님이십니다. 성부, 성자, 성령, 세 위격은 서로 아무 상관 없이 존재하는 고립된 인격들이 아니라, 피차 불가분리의 필연적인 관계 안에 있으면서 사랑으로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인격들입니다.(본문 중)
현요한(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 조직신학)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을 단순한 유일신이라고 믿지 않고,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이라고 믿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삼위일체 교리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논리적이지 않고, 너무 난해하며 추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교리가 신앙에 도움이 되는지 의심하기도 합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일종의 형이상학적이고 철학적인 내용이지, 성경이 말하는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어떤 사람은 아직도 삼위일체 교리 같은 고리타분한 이야기가 필요한지 질문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실 삼위일체 교리는 그리스 철학이나 형이상학적 사변에서 나온 것은 아닙니다. 그 교리에 대한 교회의 진술이 철학적 용어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헬라 철학과는 거리가 멉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성경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신앙과 예배의 전통에서 나온 것입니다. 삼위일체라는 말은 세 위격(位格, person)이 한 본체(本體, substance)를 이룬다는 말을 축약한 것인데, 성경에 ‘삼위일체’라는 단어는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이해할 수밖에 없는 계시적 사건들이 일어났으며, 성경은 그것을 증언합니다.
신약성경의 신앙은 철저히 하나님이 한 하나님이시라는 구약성경의 신앙을 계승하고 있습니다(엡 4:5-6). 또한 동시에 신약성경의 신앙은 성자의 신성, 성령의 신성을 인정합니다(요 1:1-3; 20:28; 4:20; 고전 3:16, 19 등). 그러면 성부 성자 성령 모두 신성을 지닌 존재라는 말인데, 그래도 하나님은 한 분이라면,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이름만 다르지 실제로는 동일한 존재일까요? 그러나 성경은 명백히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구별되는 분이심을 증언합니다.1) 그리하여 신약성경은 성부, 성자, 성령을 동등하게 나란히 언급합니다(마 28:19, 고후 13:13).2) 이러한 양식은 초기 교회의 예전(liturgy)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대 교회에서 삼위일체론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공의회는 니케아 공의회(First Council of Nicea, A.D. 325)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First Council of Constantinople, A.D. 381)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회의들은 그 무렵에 등장했던 여러 가지 이단 설들이 본래 교회의 신앙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고, 올바른 신앙(교의, 敎義)을 공식적인 신조로 공표한 것입니다. 그와 함께, 고대 교회에서 삼위일체론을 학문적으로 정립하고 기초를 놓은 위대한 신학자들이 있었는데, 동방교회에서는 카파도키아의 세 교부들이 중요하고, 서방교회에서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가(Augustine, d. 430) 중요합니다.3) 카파도키아의 교부들은 성부는 물론, 성자와 성령을 포함하는 세 위격들 모두의 신성을 인정하면서, 그 구별되는 세 위격이 한 하나님이심을 해명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신성을 가진 구별되는 세 개별 실체가 하나님의 한 본질을 공유하며(mia ousia, treis hypostaseis), 또한 서로가 서로 안에 온전히 내주하신다는 방식으로 하나님의 일체성을 설명하였습니다.4) 서방교회 삼위일체론은 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전통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한 분이심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그 한 하나님 안에 서로 구별되면서 동등한 세 위격의 복수적 관계가 존재함을 설명하려고 하였습니다(una substantia, tres personae). 그가 삼위일체를 해석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하나님은 사랑이시다”라는 말입니다. 하나님이 본질적으로 사랑이시라면, 하나님 안에 적어도 ‘사랑하는 이’와 ‘사랑받는 이’와 ‘사랑 그 자체’가 반드시 존재해야 할 것인데, 그는 이를 성부, 성자, 성령에 대응시켰던 것입니다.5)
그런데 17세기 과학혁명과 18세기 계몽주의 운동 이후 사람들은 형이상학적이며 추상적인 것보다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것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한동안 삼위일체론은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칼 바르트(Karl Barth) 같은 신학자는 다시 종교개혁적인 말씀의 신학, 계시의 신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며 삼위일체론을 다시 중요한 신학적 주제로 발전시켰습니다. 이후 오늘날까지 많은 신학자들이 삼위일체론에 관심을 가지고 그에 대한 해석과 생각들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삼위일체론의 르네상스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현상 이면에는 삼위일체론이 단순히 형이상학적인 사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삶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해방신학자나 여성신학자들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그 내용들을 모두 자세하게 살펴볼 수는 없지만, 그 흐름 안에는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인격적인 사랑의 공동체, 혹은 사랑의 교제(코이노니아)를 발견하고, 그것은 원형으로 삼아 우리의 삶에서 그러한 삼위일체 하나님을 본받아 서로 평등하고 자유로운 민주적 공동체를 이루어 가고자 하는 의도가 들어 있습니다. 각 신학자들의 삼위일체론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르지만, 서방교회 전통을 따르면서 한 분 하나님 안에 있는 사랑의 교제 관계를 보든, 동방교회 전통을 따르면서 세 개별 위격들 간의 사랑의 공동체적 교제를 보든, 큰 흐름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6)
그런데 성경은 그동안 우리가 계속 이야기해 온 ‘하나님 나라’가 바로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임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아버지 하나님의 나라입니다(마 13:43; 26:29; 눅 22:29; 고전 15:24).7) 또한, 하나님의 나라는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입니다(요 18:36; 엡 5:5; 골 1:13; 벧후 1:11).8) 또한, 하나님의 나라는 성령의 나라이기도 합니다.9) 이는 하나님의 나라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요, 이 세상에 실현되는 하나님의 나라는 그 삼위일체 하나님을 반영하는 나라가 되어야 함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그 삼위일체 하나님은 바로 사랑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사랑의 하나님이시다”라는 말은 삼위일체론의 내용적인 심층 문법(depth grammar)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10) 예수 그리스도께서 전파하신 복음의 이야기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 사이의 놀라운 사랑의 이야기이며, 그 속에서 우리가 함께 참여하게 되는 하나님의 사랑의 이야기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은 죄인들과 병자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그들을 용서하고, 인정하고, 치유하고, 가르치고, 변화시켜 생명을 주신 사랑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은 자기를 비우고 내어 주어 사람이 되시고, 종의 모습으로 오셔서 십자가에 죽기까지 고난당하며 섬기는 사랑입니다(빌 2:5-11).
삼위일체론은 무슨 철학적 사변에서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삼위일체론의 뿌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나신 하나님의 계시이며, 그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깊은 경험과 신앙과 예배입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은 그저 비인격적인 절대자나 우주의 원리가 아니라, 살아계신 하나님이요(마 16:16), 인격적인 하나님이십니다. 성부, 성자, 성령, 세 위격은 서로 아무 상관 없이 존재하는 고립된 인격들이 아니라, 피차 불가분리의 필연적인 관계 안에 있으면서 사랑으로 일체를 이루고 있는 인격들입니다. 그 인격들은 서로 구분된 타자이면서 동시에 서로 사랑하며 공동체를 이루는 인격들입니다. 그러므로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으로 구원하시는 분임과 함께, 우리가 이 세상에서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우리 각 개인을 살릴 뿐 아니라, 공동체적이며 공적인 영역에서 이 세상을 살리는 기초가 됩니다. 하나님 나라를 사는 영성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고, 그 사랑을 받아 누리며, 이 땅에서 그 사랑의 공동체를 본받아 사는 영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의 시대에 이 땅에 사는 우리는 그러한 영성으로 살고 있습니까?
1) 성부와 성자의 구별: 요한복음 1:1은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고 하였다. 여기서 성자를 가리키는 ‘말씀’은 하나님이시면서 하나님과 ‘함께’ 계신다고 하였으니 하나님과 말씀이신 성자는 구별된다. 또한 예수께서 십자가 위에서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고 외치셨을 때(막 15:34), 버리시는 이와 버림받는 이는 구별될 수밖에 없다. 성부와 성령의 구별: 성령이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신다고 할 때(롬 8:26-27), 기도하는 이와 기도를 들으시는 이는 구별될 수밖에 없다. 성부께서 성령을 우리에게 보내신다고 할 때(요 14:26), 보내시는 이와 보냄을 받는 이는 구별될 수밖에 없다. 성자와 성령의 구별: 성자께서 성령을 보내신다고 할 때(요 16:7), 보내시는 이와 보냄을 받는 이가 구별될 수밖에 없다.
2)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마 28:19);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고후 13:13).
3) 고대와 중세 기독교 세계는 주로 지중해 연안에 퍼져 있었다. 그중에서 헬라어를 사용하는 동쪽 지역의 교회를 동방교회라고 하고, 라틴어를 사용하는 서쪽 지역의 교회를 서방교회라고 부른다. 카파도키아의 세 교부들이란 바실리오스(Basil the Great, 330-379),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오스(Gregory of Nazianzus, 329-389), 닛사의 그레고리오스(Gregory of Nyssa, c.335-c.395)를 가리킨다.
4) 나중에 다마스쿠스의 요한(John of Damascus, c. 675-749)은 카파도키아의 교부들의 해석을 기초로 동방교회 삼위일체론을 정립하였다. 그는 세 위격들의 상호내주, 혹은 상호침투를 의미하는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라는 용어를 확정 지었다.
5) 아우구스티누스는 또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된 인간의 정신(영혼)을 분석하여, 정신은 하나인데 정신과 정신의 자기 자신에 대한 지식과 정신의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영혼은 하나인데 그 안에 기억과 지식과 의지가 있다는 식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6) 이러한 방향성은 동방정교회의 요한 지지울라스(John Zizioulas)를 비롯, 프로테스탄트의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 로마 천주교회의 캐서린 모우리 라쿠냐(Katherine Mowry LaCugna) 등과 함께, 해방신학자인 레오나르도 보프(Leonardo Boff) 같은 이도 포함한다.
7) 하나님의 나라를 마 13:43은 “의인들의 아버지의 나라,” 마 26:29은 “내 아버지의 나라”라고 표현하며, 눅 22:29에서 예수님은 “아버지께서 나라를 내게 맡기신” 일을 말씀하시며, 고전 15:24에서는 “…나라를 아버지께 바칠 때…”라고 말씀하신다.
8) 요 18:36에서 예수님은 그 나라를 가리켜 “내 나라”라고 말씀하시며, 엡 5:5은 그 나라를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나라”, 골 1:13은 “그 사랑의 아들의 나라”, 벧후 1:11은 “우리 구주 곧 그리스도 예수의 영원한 나라”라고 부른다.
9) 성경에 하나님의 나라를 성령의 나라라고 표현한 문자적 표현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 나라를 이 땅에 실효적으로 실현하는 이는 성령이심을 분명히 보여준다. 마 12:28은 “내가 하나님의 성령을 힘입어 귀신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나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임하였느니라”라고 하였고, 롬 14:17은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마시는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 안에 있는 의와 평강과 희락이다”라고 하였다.
10) 다니엘 밀리오리, 『기독교조직신학개론』(개정3판)(새물결플러스, 2016).
<좋은나무>글이 유익하셨나요? 발간되는 글을 카카오톡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의 버튼을 클릭하여 ‘친구추가’를 해주시고 지인에게 ‘공유’하여 기윤실 <좋은나무>를 소개해주세요. 카카오톡으로 <좋은나무> 구독하기
삼위일체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이단 중에 여호와의 증인이 있다. 이들은 정통 기독교인들을 넘어뜨리기 위해 삼위일체에 대해 질문 하기를 즐기는데, 이들은 기독교가 믿는 삼위일체가 비합리적이고 비성서적이라고 주장한다. “왜 당신들은 성경에도 없는 삼위일체를 믿습니까? 이 교리는 하나님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고 사탄이 준 것입니다” 이렇게 주장한다.
사실 여호와의 증인의 지적대로 삼위일체(Trinitas)라는 단어는 성경에 없다. 그러나 이 특정 단어가 없다고 해서 성경에 그 개념도 없다는 말은 아니다. 우리가 삼위일체를 믿는 것은 비록 성경에 그 단어는 없지만 성경이 그 개념을 가르치기 때문이고, 우리가 이 단어를 사용할 때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과 성령 하나님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사실 정통교회가 삼위일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여호와의 증인 같이 성자와 성령의 신성을 부인하는 이단들 때문인 것이다. 만일 성자와 성령을 하나님으로 고백하지 않는 이단들이 아니었다면 정통교회도 굳이 성경에도 없는 삼위일체라는 단어를 만들어 사용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
여호와의 증인이 삼위일체를 거부하는 주요 근거는 두 가지이다. 우선 그들은 이 개념이 논리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기독교는 유일신을 믿는데 삼위일체는 이 원칙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어떻게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셋인데 하나가 될 수 있단 말인가? 오직 여호와만을 하나님으로 섬겨야 유일신론자가 되는 것이지, 어떻게 성부 하나님과 더불어 예수와 성령도 하나님으로 섬기면서 유일신론을 유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따라서 삼위일체를 믿는 것은 곧 삼신론을 믿는 것이거나 우상숭배를 하는 것이라는 논리이다. 또 정통기독교가 주장하는대로 만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진짜 하나라면, 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님이 하나님께 기도할 때 자기가 그렇게 간절하게 자기 자신에게 기도했다는 말인데, 이게 논리적으로 모순이라는 것이다. 사실 이 둘이 서로 다른 존재이기 때문에 예수가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한 것이 아닌가? 그래서 삼위일체는 말이 안 되는 모순이라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여호와의 증인이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근거는 이 개념이 성서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들이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성구가 있다.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요한 1:1) 일단 여기에 언급된 “말씀”이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나 음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의미한다는 것에서는 정통기독교와 여호와의 증인이 이해를 같이 한다. 그런데 이 둘 사이에 입장이 갈라는 것이 1절에 두 번 나오는 “하나님”이란 단어에서이다. 여호와의 증인은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에 나오는 하나님을 “하나님/전능자”(The God)로 이해하지만, 곧 이어 나오는 “이 말씀이 곧 하나님이시니라”의 하나님은 “신/대능자”(a god)로 이해한다. 어째서 같은 하나님이란 단어를 이렇게 다르게 이해하는 것일까? 헬라어 원문에 보면 이 첫 번째 하나님에는 정관사가 붙어 있고 두 번째 하나님에는 정관사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성부 하나님은 The God/진짜 하나님이고 성자 하나님은 a god/유사 하나님이란 것이다.
이게 사실일까? 첫 번째에는 정관사가 있고 두 번째에는 정관사가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이 정관사의 유무가 진짜 하나님과 가짜 하나님을 구분하는 증거가 된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요한복음 1:1절 이후에 나오는 6,12,13,18절의 경우를 보면, 성부 하나님을 지칭하면서도 정관사가 없는 “하나님”이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그들이 “신/대능자”라고 부르는 예수님이 “하나님”으로 기록된 성경구절들 중에 정관사가 붙은 경우들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 20:28절에서 도마가 예수님을 가리켜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ὁ θεός)”라고 했을 때 이 “하나님”이란 단어에 정관사가 붙어 있다. 디도서 2:13절에 “복스러운 소망과 우리의 크신 하나님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이…”란 구절이 있는데,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예수님을 하나님으로 부를 때 정관사(The)가 붙어 있다.(그밖에 히 1:8절, 요일 5:20절, 롬 9:5절을 보라.) 따라서 정관사의 유무를 가지고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것은 설득력이 전혀 없다.
우리는 삼위일체라는 용어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셋으로 구별되지만 서로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상태”라는 의미로 이해한다. 성경을 찾아보면 실제로 이 셋이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설명된 구절들도 나오고 서로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상태로 설명된 구절들도 나온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예수님께로 와서 “선한 선생님이여, 내가 영생을 얻으려면 무엇을 해야 합니까?” 라고 물었을 때, 예수님은 “왜 나를 선하다고 하느냐? 하나님 한 분 외에는 선한 이가 없다”고 대답하셨다.(마가 10:17-18) 또 예수님은 겟세마네 동산에서 성부 하나님을 “내 아버지여” 라고 부르면서 기도하셨다.(마태 26:39) 이로 보건대 성자 예수님과 성부 하나님은 서로 구분된다. 또한 예수님은 성령을 가리켜 “다른 보혜사”라고 부르시면서 자신과 성령을 구분하셨다.(요한 14:16)
반면에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상태로 표현된 구절들도 많이 있다. 요한복음 10:30절에 보면 예수님이 “나와 아버지는 하나”라고 말씀하실 때 유대인들이 돌을 들어 예수님을 치려 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유대인들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예수님이 “자칭 하나님이라” 주장하기 때문인 것이다. 또 요한복음 20:28절에 보면, 도마가 부활하신 예수님을 보고 “나의 하나님”이라고 고백하는 내용이 나온다. 만일 예수님이 하나님이 아니시라면 분명히 도마의 말을 교정해주셨을 것이다.(요일 5:20, 롬 9:5를 참조) 또한 성령은 예수의 영(갈라디아 4:6)이요 아버지의 영(고전 3:16)으로 설명되어 있고, 사도행전 5:3-4절에서는 성령을 속인 것이 곧 성부 하나님을 속인 것이 된다고 하면서 성령과 성부를 동의어로 취급하고 있다. 그리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고 명령하시고(마태 28:19), 바울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축복을 한다. 만일 성자와 성령이 성부와 같은 하나님이 아니라면 그 이름들로 세례를 베풀거나 축도하는 것은 신성모독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성경은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가르치고 있다.
삼위일체의 개념이 보통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오게 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이렇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관계를 태양의 세 가지 속성에 비유해서 설명하는 방법이 있었다. 태양은 동시에 빛을 비추고 열을 발산하고 붉은 색의 모습을 띤다. 그런데 이 세 가지 속성 중 하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되는가? 그것 하나만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가 다 없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태양의 빛과 열과 붉은 색이 셋이지만 결국 하나인 것처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한 하나님이라는 설명이다. 또는 삼위의 관계를 상황/시기에 따라 다른 역할을 한다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나님은 구약시대에는 성부로 (특히 창조와 관련하여), 신약시대에는 성자로 (특히 구속과 관련하여), 그 후에는 성령으로 (우리 가운데 영원히 내주하시는 주님으로) 나타나셨지만 그 셋은 동일본질이라는 설명이다. 한 하나님이 시대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한 현대판 설명은, 나는 집에서는 아버지이고 교회에서는 목사이고 학교에서는 선생이지만, 그렇다고 내가 세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고 여전히 하나라는 설명이다.
이렇게 설명하는 방법을 양태론(modalism)으로 부르는데, 한 하나님이 필요에 따라 세 가지 양태(mode)로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이 설명의 강점은 삼위가 하나라는 것을 잘 설명해준다. 반면에 약점은 셋 사이의 구분이 거의 없어진다는 것이다. 사실 이 설명으로는 셋 사이에 이름만의 구별이 있을 뿐이지 실제적인 구별은 없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처음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 이론의 불합리성을 지적하였다. 만일 삼위일체의 하나님이 그런 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면, 그러면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서 돌아가셨을 때 그때 성부도 돌아가셨다는 말인가? 그렇다면 예수님이 죽으시고 부활하시기 전에는 누가 이 우주를 운행하고 계셨단 말인가? 논리가 서지 않는다. 그래서 정통교회는 이런 양태론적 설명이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제대로 설명하기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린 것이다.
양태론이 유일신 하나님을 설명하려다가 너무 지나쳐 삼위의 실제적 구분을 무시하는 오류를 범했는데, 이 이론에서 정반대 극단으로 가서 아예 삼위의 분리를 주장하는 이론이 있었다. 일명 양자론(Adoptionism)이라 하는 이단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서로 다른 차원의 존재들이라는 것이다. 성자 예수님은 원래는 우리와 똑 같은 피조물인 인간인데, 너무나 완벽하게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살았기 때문에 하나님이 그것을 좋게 보아서 세례 받으실 때 그를 당신의 특별 양자로 입적하셨다는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처음부터 하나님이 아니라 세례 받으신 후부터 하나님이 되었기 때문에 성부 하나님과는 차원이 다른 존재라는 것이다. 물론 이 이론은 너무나 터무니 없기 때문에 손쉽게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삼위일체는 양태론도 아니고 양자론도 아니다. 우리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한 하나님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그 인격과 사역에 있어서 분명하게 구별이 된다고 믿고 있다. 이것이 성경이 가르치는 바이다.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삼위일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어떻게 하나님이 셋이면서 하나인가를 완벽하게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단지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논리의 허점을 지닌 불완전한 비유를 들어서까지 설명을 시도하는 것인데 양태론적 설명이 이에 속한다. 어쨌든 우리가 가장 안전하게 이 문제에 대해 결론 내릴 수 있는 것은 성경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것 이상을 생각하지 말고 그 이상을 가르치지 말자는 것이다. 성경이 가르치는 것을 요약하면 이렇다. 1) 성경은 한 하나님만을 섬기라고 가르치고 있다. 2)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인격과 사역에 있어서 서로 구분된다. 3) 이 세 인격이 모두 하나님으로 불리고 서로 하나인 것으로 즉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신비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바로 삼위일체라는 개념이다. 우리가 성경이 가르치는 정도만 받아들이면 구원받는데 지장이 없다. 완벽하게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이에서 지나는 설명을 시도할 경우 이단으로 빠질 위험이 다분히 있는 것이다.
[기독자료] 삼위일체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싶어요..
1. 삼위 일체(trinity)에 대해서
신학에서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를 연구하는 분야를 “신론”이라고 합니다. 신론에서는 하나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연구합니다.
1) 하나님의 본질: 신지식, 하나님의 존재증명,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에 대한 지식
2)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들과 그 의미
3) 하나님의 속성: 하나님만이 가지신 속성과 인간과 함께 공유하는 속성들
4) 삼위일체
5) 하나님의 사역
1) 작정
2) 예정
3) 창조
4) 섭리
위를 보면 네 번째 항목에 “삼위일체”라는 주제가 포함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삼위일체라는 말은 기독교의 신론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독특한 용어입니다.
물론 삼위일체라는 말은 성경에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독교에서는 이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서 기독교인들이 이 말을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2. 신적 본질과 영광을 가진 세 인격: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
성경을 연구하다 보면 성경에서 신적인 본질과 영광을 소유하신 인격이 셋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세 인격은 성부 하나님, 성자 예수님, 그리고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성경에서 이 세 인격은 순서나 사역에서 서로 구별되면서, 모두 신적인 칭호와 영광과 속성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성부 하나님께서 신적인 영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자와 성령께서 신적인 영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래에 있는 성경 구절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성자와 성령님께서도 신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성자의 신성에 대한 증거
가) 성자의 신성에 대한 증거(요1:1,20:28, 롬9:5, 빌2:6, 딛2:13, 요일5:20)
나) 성자에게 신적 명칭을 돌림(사9:6,40:3, 렘23:5,6, 딤전3:16, 욜2:32, 비교 행 2:21)
다) 성자에게 신적 속성을 돌림
* 영원성(사 9:6, 요 1:1-2, 계 1:8, 22:13)
* 편재성(마 18:20, 28:20, 요 3:13)
* 전지성(요 2:24-25, 21:17, 계 2:23)
* 전능성(사 9:6, 빌 3:21, 계 1:8)
* 불변성(히 1:10-12, 13:8)
* 성부에게 속한 모든 속성(골 2:9)
라) 성자께서 신적인 사역을 행하심
* 창조(요 1:3,10, 골 1:16, 히 1:2,10)
* 섭리(눅 10:22, 요 3:35, 17:2, 엡 1:22, 골 1:17, 히 1:3)
* 사죄(마 9:2-7, 막 2:7-10, 골 3:13)
* 부활과 심판(마 25:31-32, 요 5:19-29, 행 10:42, 17:31, 빌 3:21)
* 만물의 마지막 붕괴과 갱신(히 1:10-12, 빌 3:21, 계 21:5)
마) 성자께 신적 영광을 돌림(요 5:22-23, 14:1, 고전 15:19, 고후 13;13, 히 1:6, 마 28:19 등)-이 구절들을 읽어보면 성경에서 성자께 성부와 동등한 신적 영광을 돌리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 성령의 신성에 대한 증거들
가) 성령을 하나님과 동일시 함
* (행 5:3-4): 성령을 속인 것=하나님을 속인 것
* (고전 3:16): 성도-하나님의 성전=성령이 안에 거하심
* (딤후 3:16): 하나님의 감동-성령의 감동
나) 성령을 예수님과 동일시 함
* (행 16:6-7): 예수의 영=성령
다) 성령께서 하나님의 속성을 소유하심
* 편재성(시 139-7-10)
* 전지성(사 40:13-14-롬 11:34, 고전 2:10-11)
* 전능성(고전 12:11, 롬 15:19)
* 영원성(히 9:14)
라) 성령께서 신적 사역을 수행하심
* 창조 사역에 참여(창 1:2, 욥 26:13, 33;34)
* 하나님의 섭리 사역(시 104:30)
* 중생 사역(요 3:5-6, 딛 3:5)
* 죽은 자를 부활 시킴(롬 8:11)
마) 신적인 영광과 존귀가 성령께 돌려짐
*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마 28:19)
* 3위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도함(고후 13:13)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
3. 한 분이신 하나님
성경은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해 모두 하나님으로 영광을 돌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은 3분의 하나님이 계신다고 말하고 있을까요?(3신론) 그렇지 않습니다. 성경은 처음부터 끝까지 오직 한 분의 하나님만이 존재하신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유일신론).
우리는 앞에서 신적 본질과 영광을 가진 인격이 셋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성경은 이 세상에 하나님은 오직 한 분만이 계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성경에서 말하는 하나님은 1) “3분의 구별되는 인격을 가지신 2) 한 분 하나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터툴리안이라는 사람은 “한 실체-세 인격(Una substantia-tres persona)이신 하나님”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이 말에서 “3위일체”란 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하나님에 대해서 분명히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세상에서 이러한 하나님의 모델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한 실체-세 인격을 가지신 하나님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관은 기독교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신관이며, 다른 종교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신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삼위 하나님의 관계
성경에서 3위 하나님은 언제나 성부-성자-성령의 순으로 기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3위 사이의 질서와 논리적 순서를 밝힌 것이지, 어느 한 위가 다른 위에 대해 지위와 능력과 기원이 종속되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1) 존재론적 순서
3위 하나님은 존재론적인 면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성부는 다른 위로부터 발생하지 않으셨고, 성자는 성부로부터 영원히 발생(generation)하셨으며, 성령은 성부와 성자로부터 영원히 방출(procession)하셨다.”
2) 경륜적 순서
3위 하나님은 경륜적인 면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만물이 “성부로부터”(out of) 나오고, “성자로 말미암고”(through), “성령 안에”(in)있다(요 1:3,14).”
3) 구원 사역적 순서
3위 하나님은 인간의 구속 사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성부는 구속을 계획하셨고(요 17:6), 성자는 죽음을 통해 구속을 성취하셨으며(롬 5:8), 성령은 구원의 효과를 각 개인에게 적용하신다(고후 3:18).”
5. 삼위일체 문제는 세상에 똑같은 모델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설명하는 일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피조물인 우리가 하나님의 본질을 모두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아마도 이 문제는 우리가 천국에서 하나님을 뵙게될 때에 완전히 해결될 수 잇을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단지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계시해주신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 2020 Christianitydaily.com All rights reserved. Do not reproduce without permission.
삼위일체에 관하여 성경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질문
삼위일체에 관하여 성경은 어떻게 가르치는가?
답변
기독교의 삼위일체 개념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삼위일체를 완벽하고 충분하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삼위일체는 설명은 고사하고, 어떤 인간도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불가능한 개념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보다 한없이 위대하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성경은 아버지, 예수님 그리고 성령님 모두 하나님이시라고 가르칩니다. 또한 하나님은 오직 한 분뿐이라고 가르칩니다. 우리가 삼위일체 내의 서로 다른 위격(인격)들의 관계에 대해 몇 가지 사실들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머리로 다 이해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는 삼위일체가 사실이 아니거나 성경의 가르침을 근거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닙니다.삼위일체는 한 하나님이 세 위격으로 존재하신다는 것입니다. 이는 세 하나님을 제안하는 것이 결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이 주제를 공부할 때 “삼위일체”라는 단어가 성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단어라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이 용어는 세 위격의 하나님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것입니다. 세 위격은 같이 공존하시고, 함께 영원하신 위격들로서 한 하나님을 구성하십니다. 정말 중요한 점은 성경에 “삼위일체”라는 뜻으로 표현되는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하나님의 말씀에 삼위일체에 관해 언급하는 내용들입니다.1) 하나님은 한 분이십니다(신 6:4; 고전 8:4; 갈 3:20; 딤전 2:5).2) 삼위일체는 세 위격들로 구성됩니다(창 1:1, 26; 3:22; 11:7; 사 6:8, 48:16, 61; 마 3:16-17, 28:19; 고후 13:14). 창세기 1장 1절에서 복수형의 히브리어 “엘로힘(Elohim)”이 사용되었습니다. 창세기 1장 26절, 3장 22절, 11장 7절 그리고 이사야 6장 8절에서 복수 인칭 대명사인 “우리”가 사용되었습니다. “엘로힘”이라는 단어나 인칭 대명사 “우리들”은 복수 형태인데, 두 개 이상의 것들을 분명하게 지칭하는 히브리어입니다. 이것은 삼위일체에 대한 명쾌한 주장은 아닐지라도 하나님의 복수적 측면을 나타냅니다. 하나님을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 “엘로힘”은 명확하게 삼위일체 개념을 허용합니다.이사야 48장 16절과 61장 1절에서 아들은 아버지와 성령에 대해 언급합니다. 이사야 61장 1절을 누가복음 4장 14-19절과 비교해 보십시오. 마태복음 3장 16-17절은 예수님의 세례 사건을 묘사합니다. 이 구절에서 성부 하나님이 아들을 기뻐하신다고 선포하시는 동안, 성령 하나님은 성자 예수님 위에 강림하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태복음 28장 19절과 고린도후서 13장 14절은 삼위일체 내에서 서로 구별되는 세 위격을 보여주는 예가 됩니다.3) 다양한 구절들을 살펴봤을 때 삼위일체의 구성원은 서로 구별됩니다. 구약 성경에서의 “여호와”(LORD)는 “주”(Lord)와 구별됩니다(창 19:24; 호 1:4). 여호와 하나님은 한 아들을 가지십니다(시 2:7, 12; 잠 30:2-4). 성령님은 여호와(민 27:8)와 하나님(시 51:10-12)과 구별됩니다. 성자는 성부와 구별됩니다(시 45:6-7; 히 1:8-9). 신약에서 예수님이 아버지께 보혜사(돕는 분)이신 성령님을 보내시는 것에 대해 말씀하십니다(요 14:16-17). 이는 예수님이 자기 자신을 아버지나 성령님으로 여기지 않으셨음을 보여줍니다. 이 외에도 예수님이 복음서에서 아버지께 말씀하시는 모든 다른 경우들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예수님이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그분은 삼위일체의 다른 분이신(다른 위격이신) 아버지께 말씀하셨습니다.4) 삼위일체를 각각 구성하는 분들은 하나님입니다. 아버지는 하나님이십니다(요 6:27; 롬 1:7; 벧전 1:2). 아들은 하나님이십니다(요 1:1, 14; 골 2:9; 히 1:8; 요일 5:20). 성령은 하나님이십니다(행 5:3-4; 고전 3:16).5) 삼위일체 내에서는 종속 관계가 있습니다. 성경은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에게 종속되고, 아들은 아버지께 종속됨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내부의 관계로서 삼위일체 그 어느 분의 신성도 부인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유한한 우리의 마음으로 무한하신 하나님에 관해 이해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아들에 관한 참조로는 누가복음 22:42, 요한복음 5:36 그리고 요한일서 4:14을 보십시오. 성령에 관한 참조로는 요한복음 14:16, 14:26, 15:26, 16:7 그리고 특히 요한복음 16:13-14)을 보십시오.삼위일체의 각 구성원은 서로 다른 과업들을 갖습니다. 아버지는 우주 생성의 궁극적 원천 또는 원인(고전 8:6; 계 4:11)이시며 하나님의 계시(계 1:1), 구원(요 3:16-17) 그리고 예수님의 인간으로서의 사역들(요 5:17. 14:10)의 궁극적인 원인이십니다. 아버지께서 이 모든 일들을 주관하십니다.아들은 아버지께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하실 때의 대리자이십니다. 그 일은 우주의 창조와 보전(고전 8:6; 요 1:3; 골 1:16-17); 하나님의 계시(요 1:1, 16:12-15; 마 11:27; 계 1:1) 그리고 구원(고후 5:19; 마 1:21; 요 4:42)입니다. 아버지는 그의 대리자 역할을 하는 아들을 통해 이 모든 일들을 이루십니다.성령님은 아버지께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수행하시는 수단입니다. 우주의 창조와 보전(창 1:2; 욥 26:13; 시 104:30); 하나님의 계시(요 16:12-15; 엡 3:5; 벧후 1:21); 구원(요 3:6; 디도서 3:5; 벧전 1:2); 그리고 예수님의 사역들(사 61:1; 행 10:38). 따라서 아버지께서는 이 모든 일들을 성령님의 능력으로 이루십니다.그동안 삼위일체를 실제적인 예로 설명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중적인 설명은 그 어떤 것도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사과 중에 껍질, 과육 그리고 씨앗이 사과의 부분이며 사과 자체가 아니라는 점, 또는 달걀에서 껍질, 흰자 그리고 노른자는 달걀의 부분이며 계란 그 자체는 아니라는 점을 들어 삼위일체를 설명합니다. 하지만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은 하나님의 부분들이 아니며 또한 그들이 각각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이러한 예는 삼위일체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물을 예로 든 건 좀 더 나아 보이지만, 여전히 삼위일체를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합니다. 액체, 기체 그리고 얼음은 물의 형태들입니다. 아버지, 아들, 그리고 성령님은 하나님의 형태들이 아니라 각자가 하나님이십니다. 따라서 이러한 예들이 삼위일체의 그림을 제공할지는 몰라도 그 그림은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무한하신 하나님은 한정적인 예시에 의해 온전히 묘사될 수 없으십니다.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교회의 역사를 통틀어 분열을 초래하는 쟁점이었습니다. 삼위일체의 핵심적 측면이 분명 하나님의 말씀에 나와있지만, 몇 가지 부차적인 쟁점들은 명쾌하게 분명하지는 않습니다. 아버지는 하나님이시고 아들도 하나님이시고 성령도 하나님이시지만, 오직 유일하신 한 분 하나님만 존재하십니다. 이것이 삼위일체의 성경적 교리입니다. 이 사실 외에서의 쟁점들은 어느 정도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본질적인 건 아닙니다. 우리의 한정된 생각으로 삼위일체를 완전히 정의하려고 하는 것보다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무한히 높으신 그분의 본성에 초점을 맞추며 그분을 섬기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풍성함이여, 그의 판단은 헤아리지 못할 것이며 그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 34 누가 주의 마음을 알았느냐 누가 그의 모사가 되었느냐”(롬 11:33-34).
키워드에 대한 정보 삼위 일체 하나님
다음은 Bing에서 삼위 일체 하나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김진혁 교수의 신학이야기 4강] 삼위일체 하나님! 아는데 설명할 방법이 없네….
- 신앙
- 감동
- 인생
- 신학
- CBSTV
- CBS
- 하나님
- 교회
- 예수
- 김진혁
- 김진혁 교수
- 김진혁 교수 강의
- 김진혁 교수 특강
- 김진혁 신학
- 신학 공부
- 신학 강의
- 아카데미 숲
- 김원구
- 박지헌
- 박인영
- 김윤주 아나운서
- 신학이란
- 삼위일체
- 터툴리안
- 성부
- 성자
- 성령
- 마가복음1:10-11
- trinity
- 축도
- 유대교
- 기독교
- 꾸란
- 비둘기
- 루이스 벌코프
- 사랑
- 세례
- 아빠 아버지
- 어거스틴
- 이콘
YouTube에서 삼위 일체 하나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진혁 교수의 신학이야기 4강] 삼위일체 하나님! 아는데 설명할 방법이 없네…. | 삼위 일체 하나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